‘공익콘텐츠 제작 지원사업’은 소규모 공익단체가 다루는 사회 의제를 더 많은 시민의 공감과 참여로 이어지도록, 콘텐츠 제작 활동을 지원합니다. 지원 대상은 만 1년 이상, 상근활동가 5인 이내, 전년도 수입 결산 2억 이하 규모의 공익활동 단체이며, 운영인건비를 포함하여 최대 800만 원과 콘텐츠 확산 역량강화 교육 등을 지원합니다. 선정된 단체들과 함께한 오리엔테이션 현장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작은 이야기에서 큰 공감으로 이어지는 여정이 시작되었습니다. 

7월 10일, 최고기온 36도에 달했던 무더운 여름날.
낙원상가 엔피오피아홀에서는 공익콘텐츠제작지원사업 오리엔테이션이 열렸습니다. 

이번 지원사업에 선정된 20개 단체는 울릉도, 제주, 부산 먼 곳부터 서울까지 전국 곳곳에 흩어져 있습니다.
각자의 현장에서, 크고 작은 사회문제를 마주해 온 이 단체들은, 그 이야기를 세상에 전하기 위해 고군분투 해 왔습니다. 이날은 그 첫 시작을 함께 여는 자리였습니다.
프로젝트를 풀어내는 방식은 서로 다르지만, 같은 방향을 향한 마음으로 모였습니다. 

공익콘텐츠제작지원사업 최종선정단체 CI 모음입니다

2025 공익콘텐츠제작지원사업에 최종 선정된 20개 단체를 소개합니다

각 단체들은 이번 프로젝트에서 이런 질문을 품고 있었습니다.

  • “어린이 출입금지 업소, 이대로 괜찮을까?”
  • 정보의 빈곤과 단절 속에 놓인 섭식장애 당사자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건 뭘까?”
  • “초고령화 시대, 인지저하증(치매)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며, 존엄한 삶은 가능한가?
  • “빈곤을 소비하지 않으면서도 공감을 이끌어낼 수 있는 모금은 가능할까?”
  • “카메라 뒤, 보이지 않는 일하는 이들의 환경은 어떻게 바뀔 수 있을까?
  • “신경다양성을 가진 이들의 삶은 더 온전히 이해받을 수 없을까?”
  • “청년이 자신이 태어난 도시에서 살아가며 삶을 지속할 수 있으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지면 한계로 모두 담을 수 없지만, 이처럼 단체마다 고유한 질문과 이야기를 품고 있습니다. 이 고민은 앞으로 다양한 콘텐츠로 펼쳐질 예정입니다. 

 

각자의 언어로 꺼낸 이야기들 – 1부 모둠별 나눔시간

이날 단체들은 자신들의 프로젝트와 콘텐츠 방향을 서로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2025 오리엔테이션 모둠별 안내 명패가 있다

2025 오리엔테이션에서는 콘텐츠 제작 유형이 비슷한 단체로 모둠을 구성했다

제작하려는 콘텐츠 유형을 기준으로 ‘웹플랫폼’, ‘영상’과 ‘인쇄물’, ‘교육자료’ 등 네 가지 키워드로 모둠을 구성했습니다. 모둠별로 모인 단체들은 어떤 사회 문제를 다루는지, 누구에게 전하고 싶은지, 어떤 방식으로 풀어낼지를 서로 이야기하고, 질문하며 응원했습니다.

 

공익콘텐츠제작지원사업 모둠별 활동

예를 들어, 공적인사적모임, 사단법인시민, 한빛미디어노동인권센터, 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잠수함토끼콜렉티브는 차곡차곡 모아온 정보와 자료를 바탕으로 시민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웹페이지를 만들고자 합니다. 

 

다른몸들 조한진희 대표가 프로젝트 소개를 하고 있다

영상을 제작하는 2조의 다른몸들 조한진희 대표가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있다

다른몸들, 새알미디어, 시민모임즐거운교육상상, 청소년인권운동연대지음, 플로깅울릉은 단체에서 심도 있게 살펴보고 싶은 이야기를 영상으로 제작해서 사람들에게 알릴 계획입니다.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구독’과 ‘좋아요’, ‘알림 설정’도 잊지 마세요~

 

각자가 준비하고 있는 콘텐츠 제작 계획에 대해 공유하고 있다

3조에 소속된 단체별로 준비하고 있는 콘텐츠 제작 계획에 대해 공유하고 있다

달팽이네트워크, 대학알리, 사단법인부산청년들, 새벽이생추어리, 정치하는엄마들은 오랜 고민과 활동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인스타툰, 기사, 단행본 등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예정입니다.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지 기대해 주세요. 

 

모둠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있다

4조 남다른성교육연구소에서 단체 프로젝트를 공유하고 있다

사단법인일과건강, 남다른성교육연구소, 아카이브평화기억, 장애인교육아올다, 제주자연의벗은 현장에서 축적된 지식과 노하우를 교육 자료로 제작해 널리 배포할 예정입니다. 이 자료는 누구나 활용하실 수 있도록, 추후 재단 블로그를 통해 공개할 계획입니다. 

 

서로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응원의 마음을 나눈 시간

소규모 단체들이 마주한 사회 문제는 결코 작지 않습니다. 
그들의 이야기는 우리 사회의 중요한 질문이자, 우리의 일상과도 깊이 연결된 이야기입니다. 

새알미디어 - 에코부커스 유튜브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소개 활동지이다

새알미디어 – 에코부커스 유튜브 콘텐츠 제작 프로젝트 소개 활동지와 응원글

하지만 여전히 많은 이야기들이 널리 알려지지 못한 채 조용히 묻히곤 합니다.
이번 오리엔테이션에서는 각 단체가 자신이 품고 있는 질문을 꺼내놓고, 서로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며 함께 공감하고 응원하는 따뜻한 장면들이 이어졌습니다. 

플로깅울릉 – 안녕가두봉 제작 이야기를 소개하는 활동지와 응원하는 메시지

모둠에서 나눈 이야기가 흩어 지지 않도록 한 곳에 모으고, 말풍선에 담긴 응원의 메시지도 공유했습니다. 활동가들은 서로의 프로젝트에 관심을 보이며 구체적인 조언을 주고 받았고, 연대의 가능성을 발견하기도 했습니다.

 

단체의 프로젝트를 경청하고 있는 윤보미 매니저의 모습이다

단체의 프로젝트를 경청하고 있는 윤보미 매니저

아름다운재단 1%나눔팀 윤보미 매니저는 1조에 퍼실리테이터로 참여하며 이런 후기를 전했습니다.

“각 단체가 이미 현장에서 깊이 있는 활동을 해오고 있었지만, 그 이야기를 더 많은 시민에게 전하는 건 또 다른 과제인 거 같아요. 활동의 기록과 정보는 충분했지만, 그것을 ‘공익적 콘텐츠’로 전환하려면 시간과 예산, 새로운 기획이 필요해 보였어요. 
그런 점에서 이번 지원사업은 단체들의 이야기가 사회로 퍼져나갈 수 있도록 돕는 브릿지이자 확성기 같은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요. 단체의 진심이 담긴 콘텐츠가 세상과 연결될 수 있도록, 아름다운재단은 첫 번째 지지대가 되어주고 있다고 느꼈어요.”

 

이 여정은 콘텐츠 하나로 끝나지 않습니다

최종선정된 단체들과 함께 활짝웃고 있다

최종 선정된 20개 단체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우리가 함께 만드는 것은 단순한 콘텐츠 그 이상입니다.

누구도 쉽게 귀 기울이지 않았던 이야기,
묻히기엔 너무 중요한 현실,
그리고 우리가 함께 바꾸고 싶은 사회의 모습이 담겨 있습니다. 

시민의 마음에 닿는 이야기,
공감으로 이어지는 작은 울림이 더 큰 변화를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더 알고 싶다면?

올해 공익콘텐츠제작지원사업에 함께 하는 단체와 프로젝트가 궁금하다면,
배분신청사이트 결과발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에는 각 단체들의 인스타와 유튜브 채널도 함께 공유드립니다. 
지금 ‘구독’과 ‘좋아요’ 버튼을 눌러, 이들의 활동을 함께 지켜봐 주세요! 

단체명 웹페이지 인스타그램 유튜브채널
(사)일과건강 https://safedu.org/   @wioehkr
공적인사적모임 bit.ly/0044moim @0044moim @0044moim
남다른성교육연구소 https://namdareunboys.com/ @namdareun2023 @남다른-r9c
다른몸들 facebook.com/damom.action @damomsaction @다른몸들
달팽이 네트워크 https://snailnetwork.com/ @snail_network @snail_networ
대학알리 https://www.univalli.com/ @univallipress @대학알리
사단법인 부산청년들 blog.naver.com/busanyouths @busanyouths @사단법인부산청년들
사단법인 시민 https://www.simin.or.kr/   @simin_simin
사단법인 한빛미디어노동인권센터 https://hanbit.center/ @hanbitcenter @hanbitcenter
새벽이생추어리   @dawnsanctuarykr @dawnsanctuary4597
새알미디어 https://www.saeaarmedia.kr/ @eco_bookers @새알미디어
시민모임 즐거운교육상상 happyeduss.campaignus.me @happyeduss @교육상상-c8c3n
아카이브평화기억 https://peacememo.org/ @peacememo7 @peacememo7
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대 militarywatch.or.kr @watchmilitary @열린군대를위한시민연
잠수함토끼콜렉티브   @rabbitsubmarinecol @rabbitsubmarinecol
장애인교육아올다 https://www.aallda.org/    
정치하는엄마들 politicalmamas.kr/post/145 @politicalmamas @politicalmamas
제주자연의벗 blog.naver.com/ecobuddyjeju @ecobuddyjeju  
청소년인권운동연대 지음 https://yhrjieum.kr/ @yhr_jieum @청소년인권지음
플로깅울릉   @plogging_ulleung @ploggingulleung
댓글 정책보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