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마지막 이야기입니다.
황금같은 토요일, 하루 종일 자원활동 오시기를 초청하면서 또 하나의 부탁 말씀을 드렸습니다.
바로 자원활동 이후 참여 후기를 부탁드린 게지요.
자원활동 오시기 전에는 물론 그러마~ 하고 흔쾌히 수락해주셨는데,
과연 몇몇 분들이 후기를 보내주실까 쪼~끔~ 의심했던 것도 사실입니다.
그런데, 제가 부탁드렸던 분들 모두에게서 후기가 왔습니다. 처음에 짤막하게 부탁드렸는데, 모두들 너무 진지하게 솔직하게 써서 보내주셨습니다. 모든 분들의 모든 후기의 내용을 공유하고 싶지만, 스크롤의 압박이 만만찮은 관계로(^^) 공통된 내용을 모아모아 정리해보았습니다.
참여해주신 모든 분들께서 좋은 경험이었다는 내용을 많이 주셨습니다. 다문화 관련하여 평소의 생각도 좀 바뀔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는 말씀도 해주셨구요.
모쪼록 하루의 작은 경험이었지만, 우리 사회의 다문화 관련하여 더 많은 활동으로 거듭 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책뿐만 아니라 우리의 활동에도 날개를 달 수 있기를~~
먼저, 오전에는 성공회대의 박경태 선생님으로부터 다문화 관련한 강의를 들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 강의로부터 다문화에 대한 그간의 인식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지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후기에도 이번 강의에 대한 생각들을 많이 적어주셨습니다.
강의하기에 너무나 열악한 환경이었고, 또 짧은 시간이었음에도 열강해주신 박경태 선생님께 이 자리를 빌어 다시 한 번 감사의 마음 전합니다.

– 그동안 자국의 다문화 복지 방법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본 적도 없었던 내게 있어 교수님의 말씀은 정말 마음에 와 닿았다. 그리고 이주민의 문화를 존중하는 책날개 사업의 중요성에 대해 새삼 깨닫게 되었다.– 다문화 사회에 관한 강의가 특히 인상 깊었다. 부끄럽지만, 다문화 가정 돕기 봉사 동아리를 운영하면서도 다문화 가정의 실태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음을 느꼈다. 가능하다면 부원들 모두에게 꼭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였다.
– 솔직하게, 그 전까지 다문화가정에 대해 그리 큰 관심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그들이 어떠한 어려움에 처해 있는지도 몰랐고, 그들을 위한 봉사라고 하면 한국어나 한국음식 만드는 방법 등 우리의 문화를 알려주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의 도움은 ‘소통’이 될 수 없고, 일방향적인 ‘전달’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이번 사업에 참여하게 되면서 깨달았다. 다문화 가정에 모국어로 된 책을 읽을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은 단순히 그들이 읽을 책을 주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일방향적인 ‘전달’에서 쌍방향적인 ‘소통’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그들이 한국에 이민 와 한국 문화를 배우기 위해 노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한국인들이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배우려 함을 뜻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땀 흘리고 움직이면서 책 분류하고 옮기고 하는 과정에 대해 말씀해주신 후기들입니다.

– 우리나라는 우리나라말, 우리나라 문화 가르치기에 급급한데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하고. 이러한 관점에서 오늘 했던 봉사활동은 무척 뜻 깊었던 것 같다.
이 책날개 행사는 우리 사회의 다문화 정책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잘 보여주는 본보기라고 생각된다. 우리의 것을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문화를 인정해주고 우리 사회에서 한 존재로 인식해줄 때에서야 비로소 다문화라고 할 수 있다.
– 그동안 다문화라는 것을 단순히, 우리나라에 온 이주민들이 우리나라의 문화를 이해하고 적응하며 사는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이번 봉사활동을 통해서 우리도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그들 자신도 모국의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것이 진정한 다문화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국의 책들은 똑같은 ‘책’이라는 개념 밑에서 누구에게나 교양을 주고 사랑을 준다. 이처럼 각기 다른 냄새가 합쳐졌지만 책장에 사이좋게 차곡차곡 꽂힌 각국의 책들을 보며 우리 인간들도 어쩔 수 없는 문화적 차이를 인정하고 같은 ‘사람’이라는 것을 기억하고 어우러진 사회를 만들어가야 하지 않을까? 서로 다른 냄새가 어우러져 뿜어내는 그 향이 대한민국 코에 박혀 아무 거리낌도 없이 모두가 익숙해지는 그 날이 왔으면 좋겠다.
– 봉사활동을 하며, 모국어로 된 책을 읽으며 좋아할 아이들을 생각하니 마음이 따뜻해졌다. 모국이 그리운 아이들에게는 이 책을 통해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었으면 좋겠고, 대한민국에서 태어나 엄마의 국가를 경험해볼 수 없었던 아이들은 이 책을 통해 엄마를 이해하고, 엄마가 태어난 국가를 사랑하게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또한 이 책을 계기로 한글을 읽지 못하는 아이들은 모국어로 된 책을 읽으며 친구들에게 자신의 나라에 대해 소개를 해주기도 할 것이며, 차별을 받거나 적응이 힘들었던 아이들은 친구들과 가까워질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 <책날개를 단 아시아>는 나에게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이해와 봉사를 깨닫게 해준 뜻깊은 활동이자, 잊지못할 소중한 경험이다. 작년에 이어 올해도 행사에 참여를 하게 되었고, 뜻을 같이 한 많은 봉사자들과 함께 땀을 흘릴 수 있게 되어서 너무나 기뻤으며, 마음 한 켠으로는 뿌듯한 자신을 발견하였다. 처음에는 다소 어색했던 분위기가 금새 가족 같은 분위기로 바뀌었고, 우리는 마지막까지 즐거운 마음으로 시간 가는 줄 모른 채 배분작업을 하였다. 작업양이 많아지면서 육체적으로 피로감이 몰려드는 데도 불구하고, 힘든 내색 없이 웃으면서 일을 하는 봉사자들의 모습을 보면서 마음이 뿌듯해짐을 느꼈다. 그리고, 이 책을 받고 호기심에 가득찬 표정으로 기뻐할 아이들의 모습을 상상하니까 저절로 책 하나하나에 정성과 마음이 담겨졌다.

행사 중 그 바쁜 시간에 자원활동가들이 해야 했던 또 하나의 미션!
바로 책을 받게 될 이주민에게 한마디 소감 나누는 일이었습니다. 시간 나는 틈틈히 작은 마음을 담아주신 카드는 잘 포장되어 20개 도서관에 잘 전달되었습니다. 활동하시는 내내 전하고자 하는 그 마음들이 우리 도서관의 이주민들에게 올곧이 전달되길 바라고, 또 그것이 또다른 다문화 사회를 만들어내는 작은 기반이 되었으면 합니다.


직장인A씨
다들 진지한 표정과 태도, 따뜻한 마음으로 임해주셔서 정말 감사하고 뜨거운 하루였습니다~ 캄사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