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재단과 지리산이음이 함께 만드는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이하 지리산센터)는 전남 구례군, 전북 남원시, 경남 산청군, 경남 하동군, 경남 함양군의 시민사회와 함께 지역에 필요한 작은변화를 이끌어내는 사람들과 공익활동을 지원해왔습니다. 2023년을 끝으로 아름다운재단의 지리산센터 지원이 종료됨에 따라 지난 6년간 지리산센터가 진행해 온 다양한 활동을 돌아보며,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의미를 되새기는 활동백서를 제작했습니다.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 활동백서는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장에서는 지리산센터가 출발한 배경과 6년간 센터 운영의 주요 기틀로 삼은 운영원칙 및 핵심가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2장에서는 지리산센터의 사업들을 주요 ‘목적’에 따라 ▲활동가 지원영역, ▲활동 및 의제 지원영역, ▲역량 지원영역, ▲지역이해 및 기록 영역으로 유형화했으며, 이를 연도별로 설명합니다. 3장에서는 지리산센터의 4가지 ‘주요 지원방식’인 ▲사람중심 지원, ▲유연한 지원, ▲연결중심 지원, ▲기록을 통한 지원 으로 6년의 사업을 돌아봅니다. 4가지 주요 지원방식의 의미와 실제 현장에서 실행된 내용과 이러한 지원방식의 한계 등을 자세히 살펴봅니다.마지막 장에서는 지리산센터와 함께 한 지역활동가 및 시민사회 관계자의 시선으로 지리산센터의 의미를 되짚어봅니다. 그리고 지리산센터를 공동 운영한 지리산이음과 아름다운재단이 지난 6년의 경험을 되돌아보는 회고와 앞으로의 계획을 제시합니다.
본 활동백서를 통해 지난 6년간 지리산작은변화지원센터를 관심있게 지켜봐주시고 응원해주신 분께 감사 인사를 전하며, 민설민영 지원조직인 지리산센터의 활동 경험이 지리산권 및 전국 시민사회 생태계 전반에 의미있는 사례가 되길 바랍니다.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 활동백서는 총 4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장에서는 지리산센터가 출발한 배경과 6년간 센터 운영의 주요 기틀로 삼은 운영원칙 및 핵심가치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2장에서는 지리산센터의 사업들을 주요 ‘목적’에 따라 ▲활동가 지원영역, ▲활동 및 의제 지원영역, ▲역량 지원영역, ▲지역이해 및 기록 영역으로 유형화했으며, 이를 연도별로 설명합니다. 3장에서는 지리산센터의 4가지 ‘주요 지원방식’인 ▲사람중심 지원, ▲유연한 지원, ▲연결중심 지원, ▲기록을 통한 지원 으로 6년의 사업을 돌아봅니다. 4가지 주요 지원방식의 의미와 실제 현장에서 실행된 내용과 이러한 지원방식의 한계 등을 자세히 살펴봅니다.마지막 장에서는 지리산센터와 함께 한 지역활동가 및 시민사회 관계자의 시선으로 지리산센터의 의미를 되짚어봅니다. 그리고 지리산센터를 공동 운영한 지리산이음과 아름다운재단이 지난 6년의 경험을 되돌아보는 회고와 앞으로의 계획을 제시합니다.
본 활동백서를 통해 지난 6년간 지리산작은변화지원센터를 관심있게 지켜봐주시고 응원해주신 분께 감사 인사를 전하며, 민설민영 지원조직인 지리산센터의 활동 경험이 지리산권 및 전국 시민사회 생태계 전반에 의미있는 사례가 되길 바랍니다.
1장 운영개요
-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의 출발
-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의 기틀
- 주요 연혁
2장 사업 및 활동 현황
-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의 사업 영역
- 연도별 사업 현황
- 숫자로 보는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
3장 지원방식
- 사람 중심 지원
- 유연한 지원
- 연결 중심 지원
- 기록을 통한 지원
4장 시선과 회고
- 이해관계자의 시선
- 간담회를 마치고
- 아름다운재단의 회고
- 지리산이음의 회고
부록 지원사업 세부 내용
- 활동가 지원영역
- 활동 및 의제 지원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