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는 게 제일 좋아, 친구들 모여라…” 뽀통령의 노래를 따라 부르며 자랐건만, 하교 후 학원가를 전전하는 아이들에겐 더 이상 놀 시간이 없다. 설령 시간이 있더라도 신나게 몸으로 놀 줄 모른다. 시루엔 콩나물이, 놀이터엔 아이들이 자라야 자연스러운 법. 이에, 놀 줄 아는 소년들이 놀이요원을 자처하며 놀이터로 나섰다. ‘본격 어린이&어른이 바깥놀이 프로젝트’는 그렇게 시작됐다.

매주 수요일 궁말어린이공원에서 진행된 '문화디자인' 놀 프로젝트

매주 수요일 궁말어린이공원에서 진행된 ‘문화디자인’ 놀 프로젝트

 

한적한 주택가 한 쪽 자그마한 놀이터에 아이들 웃음소리가 왁자하다. 놀이터 앞을 지나는 주민들의 걸음이 그 앞에서 절로 느릿해진다. 제자리를 찾은 풍경이건만, 시선을 비끄러맬 만큼 생경한 것도 사실이다. 

아이들은 늘 그렇게 놀아왔던 것 마냥 자연스럽다. 8~9세 아이들의 막강한 놀이 본능과 지칠 줄 모르는 체력엔 혈기 방장한 십대 소년들도 혀를 내두를 정도. 어려서부터 몸으로 뛰노는 데엔 이골이 난 형들이건만, 고무공 같은 아이들이 어디로 튈지 몰라 긴장을 늦출 수 없다. 8~9세 어린이 10명에 놀이 선생님 10명. 1:1 대인 마크가 가능한 이 밀도 높은 놀이교실은 ‘아이들에게 놀이터를 돌려주자’는 슬로건 하에 문화디자인이 추진하는 ‘놀 프로젝트’ 사업이다.

 “형들이랑 놀자! 안전하고, 재미있게!”

“형들이랑 놀자! 안전하고, 재미있게!”

 

대안학교인 ‘꽃피는 학교’ 고등과정 학생들로 구성된 문화디자인은 2014년 봄, ‘더 나은 문화를 디자인하자’는 뜻을 천명하며 시작됐다. ‘우리 안에서 출발하여 사회 속으로 확장한다’는 목표대로, 문화디자인 팀이 다루는 문화의 범위는 학내 문화에서 지역사회 문화로 점차 확대되었다. 놀 프로젝트가 그 첫 번째 결과물인 셈. 놀이터에서 아이들을 볼 수 없다는 안타까운 현실에 착안, 청소년들이 찾아낸 해법은 투명했다.

“형들이랑 놀자! 안전하고, 재미있게!” 

놀이요원, 안전요원의 빈틈없는 하모니  

“내 머리 속엔 아이가 살고 있어요”, “누가 더 아이 같은지 놀아보자”, “동생만 3명입니다”…. 놀 프로젝트 리플렛에 적힌 멤버들의 재기발랄한 프로필 문구가 웃음을 자아낸다. 대부분 초등 과정부터 대안학교를 다닌 소년들은 ‘놀이’를 성장 동력 삼아 자라왔다. 또래 친구들과 산으로 들로, 몸으로 뛰놀며 지낸 유년의 추억은 이들의 가장 큰 자산. 놀아본 소년들만이 알 수 있는 놀이의 효능, 놀이의 재미를 몸소 알려주겠다니, 이보다 더 믿음직한 놀이 선생도 없다. 더욱이 재미만이 아닌 ‘안전’에도 각별히 주의를 기울여, 부모님들의 마음까지 사로잡았다는 후문. 

문화디자인 대표 나누리

문화디자인 대표 나누리

 

“서대문소방서에서 안전교육을 받았고요, 항상 구급키트를 준비합니다. 놀이요원과 안전요원으로 업무를 나눠, 안전요원은 아이들을 살필 수 있도록 놀이터 곳곳에 배치했어요. 안전한 먹거리도 중요한 부분이라, 간식은 근처 유기농매장에서 준비하고요.” 

그러고 보니 보디가드처럼 놀이터 곳곳을 지키고 있는 소년들이 눈에 들어온다. 망아지처럼 뛰어다니는 아이들을 쫓는 눈빛이 사뭇 삼엄하건만, 놀이 대열에서 이탈하여 혼자 노는 아이가 보이면 슬며시 친구가 되어준다. 얼음땡을 하다 말고 갑자기 그네를 타기도 하는 게 8, 9세 아이들의 무른 집중력인 까닭. 무리로 돌려보내는 대신 슬그머니 그네를 밀어주는 속 깊은 큰오빠, 큰형들이다.

문화디자인 서준선

문화디자인 서준선

 

“우리가 어렸을 때 했던 놀이들을 생각하며 프로그램을 짜요. 지난번엔 비석치기라는 전통놀이를 가르쳐줬는데, 호응이 꽤 좋았어요. 준비해온 놀이를 모두 원활히 진행하진 못해요. 단체 줄넘기를 기획했더라도 아이들이 얼음땡을 원하면 얼음땡을 하죠. 일단 아이들이 재미있어야 하니까요. 아이들은 무조건 몸을 움직이는 놀이를 원해요. 또 좋아하는 놀이는 지치지도 않고 반복하죠. 뛰어다니는 것만으로도 즐거워하는 게 보이니까, 정말 이런 시간이 필요했구나 싶고, 보람을 느껴요.” 

도심의 풍경을 바꾼 놀이터 디자인 

놀이를 통한 따뜻하고 유쾌한 소통의 기억은 놀 프로젝트를 밀고 나가는 추동력

놀이를 통한 따뜻하고 유쾌한 소통, 놀 프로젝트의 힘

 

2014년에도 놀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지만, 그때만 해도 지금처럼 체계적이진 않았다. 일단, 지역 사회에 전혀 홍보 없이 시작하여, 초반엔 의심스런 눈초리를 받기도 했다. 놀이터에서 아이들과 놀아주겠다는 덩치 큰 십대소년들의 정체가 낯설었던 까닭. 프로젝트의 취지를 충분히 공유하지 못한 채 시작한 게 아쉬움으로 남지만, 정해진 요일과 정해진 시간이면 어김없이 놀이터에 나와 형들을, 오빠들을 기다리던 아이들을 잊지 못한다. 

놀이를 통한 따뜻하고 유쾌한 소통의 기억은 놀 프로젝트를 밀고 나가는 추동력이 됐다. 아름다운재단 청소년 자발적 사회문화활동 지원사업에 신청하게 된 것도 그 때문. 홍보부터 체계적인 프로그램 진행에 필요한 물적 여건들을 제대로 마련하고 싶었다. 

상반기에 뜻하지 않은 변수였던 메르스 여파로 홍보기간이 조금 늦춰지긴 했으나, 나머지 일정은 무리 없이 진행됐다. 기실, 출발부터 기분 좋게 테이프를 끊었다. 서대문구청에 직접 만든 리플렛을 비치하고 교육넷과 SNS를 통해 홍보에 돌입하자마자 순식간에 10명 정원이 마감된 것. 놀 프로젝트 유니폼을 맞춰 입고, 아름다운재단과 문화디자인 로고가 박힌 플래카드도 걸고, 구급키트에 착한 간식까지 챙기고…. ‘살림이 넉넉해져서’ 힘든 기억은 별로 없다는 이들이다.

“방과 후 학원가를 전전하며 놀이라곤 스마트폰과 컴퓨터 게임 밖에 모르는 아이들이 안타까웠어요. 책상에 앉아 배우는 게 공부의 전부가 아니라는 걸 부모님들께 말씀드리고 싶었습니다. 아이에겐 또래친구와 몸으로 부대끼며 뛰어노는 일상 자체가 성장의 과정임을 잘 알기에, 그리운 놀이터 문화를 되살려 보고 싶었어요. 어린 시절부터 누구보다 놀기를 잘 했던, 그래서 이렇게 건강하게 자란 우리들이 할 수 있는 일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더불어 함께 사는 사회를, 다음 세대를 생각하는 심지 곧은 소년들. 매주 수요일 오후 2시 반, 그들이 디자인한 놀이터 풍경은 확실히 이전보다 훈훈하고 풍요로웠다.

글_ 고우정 ㅣ 사진_ 조재무

댓글 정책보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