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토로에 새 희망이 |
처음 우리가 찾은 우토로는 ‘풀 한 포기마저 자유롭지 않았던’ 일본내 재일조선인들의 투쟁과 고난의 역사를 한 켠에 두고서, 마지막 지푸라기 하나 붙잡는 심정으로 ‘조국’의 도움을 간절히 바라고 있었습니다. 일제식민으로부터 해방 60년을 맞는 해 2005년. “빼앗간 60년, 우토로에 새 희망을” 모토로, 우토로 재일조선인들의 외침에 대한 화답 운동이 시작되었고, 3년이라는 적지 않은 세월을 흘려보냈습니다. 그간 3년의 세월동안 우토로에 화답하는 20여만명의 자발적인 “우토로 지킴이”들이 생겨나 한일 양국에서 14억여원의 민간모금이 이루어지고, 2007년 말 한국정부도 결국 우토로 주민의 생존권과 거주권을 지키기 위해 30억원 지원을 결정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엔화 가치 상승으로 빚어진 불가피한 모금 부족분 등 갈 길은 많지만, 우토로 주민들이 희망을 말할 수 있다 한다면 무책임한 얘기일까요? |
‘형평성’ 논리에 뼈저린 반성을 |
2005년 한국정부(외교부, 당시 반기문 장관 재직시기)는, 강제퇴거 위기에 처한 우토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토지매입을 통한 소유권 확보방안’이 유일한 해결책임을 피력했습니다. 토지매입을 위한 민간모금의 부족분을 정부가 채우는 방안도 제시했습니다. 외교부 창설이래 처음으로 외교부 全직원이 일정액을 갹출하여 2천만을 모으는 등 우토로 토지매입을 위한 모금운동에 의지를 비친 적도 있었습니다. 지나간 얘기지만, 정부가 기존에 제기하지 않았던 ‘형평성’ 문제를 들어 한 때 지원이 어렵다는 입장으로 선회했던 점은 참으로 뼈아픈 반성을 낳게 하고 자체적으로 곱씹어볼 일입니다. 2008년 정부는, 국회에서 ‘우토로 토지매입비’로 책정한 예산을 어떻게 잘 집행할 것인가 구상을 가시화하고 있고, 소유권을 확보한 이후 일본 행정 등과의 교섭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단법인 설립, 법인의 임원 구성 등의 구체적인 문제를 우토로주민회 등과 협의 중에 있습니다. |
가슴에서 시작된 우토로 살리기 운동 |
일본정부는, 과거 우토로지구가 ‘불법점유지’이고 민사문제이기 때문에 관여하기 어렵다던 수십년간의 방관적인 자세에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2007년 한국정부의 지원여부가 결정되기 전후, 국토교통성과 교토부 및 우지시 관계자 3자로 구성된 ‘우토로지구 주거환경 개선 협의회’가 발족되었습니다. 2008년 2월 우지시 차원의 첫 우토로지구 실태조사도 이루어졌습니다. 최근 ‘협의회’는 우토로지구의 공영주택 건설, 고령자 복지시설 건립, 도로 및 배수시설 등의 인프라 정비, 역사기념관 건설 문제 등에 대해서 우토로주민회와 긴밀히 의견을 교환 중에 있습니다. |
이제 희망을 이야기 할 수 있기를 |
이젠, ‘우토로주민회’라는 현장과 굳건한 신뢰를 기반으로 우토로가 사람이 살 수 있는 땅으로 변화되도록 미래를 설계할 때입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수 십만명의 한일 양국의 희망씨들이 일궈낸 우토로 운동이 값진 결실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토로주민회가 주축이 되어 향후 우토로 미래를 설계할 재단을 설립해야 합니다. 또한 우토로주민들이 그토록 간절히 염원하던 ‘우토로역사기념관’을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일도 남아있습니다. 필요하다면 한일 양국의 민간이 측면에서 보조할 필요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토로의 향후 미래설계에 있어, (정부지원금을 구실로) 한국정부가 감내라 배내라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되고 나설 일도 아닙니다. 이것이 식민지의 역사를 온 몸으로 감내한 우토로 재일조선인과 아픔을 함께 하고 미래 희망을 함께 그린 수십만 국민들의 간절한 뜻이기 때문입니다. 우토로주민들은 미래 우토로를 찾는 당신에게 ‘우토로역사기념관’ 한복판에 새겨진 당신의 당당하고 자랑스런 이름을 부를 준비를 이미 끝마쳤습니다. 일제 식민지, 강제동원, 차별, 강제퇴거의 위협 속에서 만나지 못한, 배우지 못한, 먹지 못한, 입지 못한 설움 등 70년, 그 풍파를 서로 다독이며 견뎌낸 우토로 공동체, 그 녹슨 쇠 담벼락에 희망의 꽃은 피기 시작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