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우리 청소년들은 아픕니다. 작은 생채기가 아닌 깊은 상처를 품고 살아갑니다. ‘성적 비관’ ‘왕따’ ‘우울’…스스로 목숨을 끊은 청소년들의 기사에서 흔히 보는 단어들입니다.

이제 이런 뉴스는 너무나 흔한 소식이 되어버렸습니다

잠깐 대안학교에서 교사로 일했던 적이 있습니다. 학교에서 도저히 감당할 수 없어 자퇴나 전학을 강요당한 아이들이 부모님의 손에 이끌려 찾아왔습니다. 대부분의 부모님은 저에게 “이 아이 좀 어떻게 해주세요.” 라고 간절히 말했습니다. 자신의 아이를 ‘어쩌지’ 못해 대안학교 교사에게 부탁하는 부모님 옆 말없이 앉아있는 청소년들의 모습은 참 작고 안쓰럽고 무기력해 보였습니다.

상당수 부모님은 “우리 아이는 아직 어리고 세상을 잘 모르니 선생님이 잘 좀 돌봐주세요. 그리고 고등학교 졸업장은 딸 수 있게 공부 열심히 시켜주세요.” 라고 말하며 자신의 아이를 대안학교에 맡겼습니다. 그들에게 대안학교 교사란 자신이 감당할 수 없는 아이들을 대신 맡아주는 ‘보모’인 듯 했습니다. 누군가 잘 돌봐주면, 신경만 써주면 남들처럼 대학도 가고 취직도 할거라 믿는 듯 했습니다. 어른이 되면 정신차릴거라고 생각하는 듯 했습니다.

비단 이른바 ‘문제아’로 찍힌 청소년들만의 이야기는 아닐겁니다. 하지만 이미 어른이 되어버린 저 역시도, 그 청소년들의 마음 속에서 어떤 세상이 펼쳐지고 있는지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습니다. 아이들은 늘 돌봐주고 ‘이 길이 더 나은 길이야’ 라고 충고해줘야 할 대상이었습니다.  

‘어른’과 ‘아이’ 사이

사람은 몇살부터 ‘어른’이 되는 걸까요? 성장과정에 어떤 구분선이 있어 쫙 그어놓은 줄의 이쪽 편은 ‘아이’, 저쪽 편은 ‘어른’인 걸까요? 20살이 되면, 대학생이 되면 어른이 되는 걸까요?

마트료시카의 흔한 세우기 순서. 성장과정과는 반대네요. 우리도 성장과정과는 반대의 시선으로 청소년들을 바라보고 있는 건 아닐지…

 

그럼, 이 글을 읽는 당신에게 15살. 중학교 2학년이란 ‘아이’의 나이인가요? ‘어른’의 나이인가요? >,< 같은 부등호로 표시한다면 당신은 어느쪽인가요?

15살 : 아이>어른
15살 : 아이<어른 

’15살’ – 생각보다 큰 나이

15살. 만으로는 13세~14세 정도가 되겠네요. 이 15살을 일컬어 옛 사람들은 ‘지학(志學)’이라고 했습니다. 공자가 학문에 뜻을 두었다는 나이. 세상의 이치를 깨달아가기 시작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요즘으로 치면 일종의 성년식인 ‘관례(冠禮)’가 있었습니다. ‘관혼상제(冠婚喪祭)’ 사례(四禮)의 하나일만큼 중요한 의식이었습니다. 관례에서는 이제 어른이 되었다는 의미로 남자는 상투를 틀고, 여자는 ‘계례’라 하여 비녀를 꽂게 됩니다. 옛날 사람들은 이 관례를 혼례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했고 관례를 마치면 완전한 성인으로 대우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관례는 보통 아이가 자라 15살이 되면 치러졌다고 하네요. 중2 정도가 되면 완전한 어른 대접을 해줬다는 뜻입니다. 관례가 사라진 근대 이후에도 보통 중고생들을 사회의 지식인으로 인식했습니다. 어른 대접을 해 주니 스스로도 자신을 ‘어른’이라고 생각하고 행동 했을 겁니다. ‘나는 ‘아이’다.’라고 생각하는 15살과, ‘나는 ‘어른’이다.’ 라고 생각하는 15살의 행동은 많이 다를 수 밖에 없겠지요.

 굳이 오버해서 ‘어른’이라고 하지 않고 요즘식대로 ‘청소년’으로 부른다 하더라도 이 ‘청소년’들이 할 수 있거나 해낸 일은 어른들의 상상 이상입니다.

 시간을 일제시대로 돌려볼까요. ‘옥 속에 갇혔어도 만세 부르던’ 유관순 열사는 17살에 3.1 만세운동을 주도했고,

유관순 열사의 수형기록표. 요즘 학생들의 교복을 입은 모습도 쉽게 상상되는 앳된 얼굴입니다.

 


11월 3일을 ‘학생독립운동기념일'(2006년 ‘학생의 날’에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로 지정하게 한 1929년 광주학생운동 역시 고등학생들이 일제에 항거해 분연히 떨쳐나섰던 것이었습니다.

우리나라 민주화운동사의 첫 페이지를 장식하는 4.19 혁명의 도화선 역시 1960년 2월 28일 일어난 대구 지역 고등학생의 시위였습니다. 어떠세요? 이들을 ‘아이’라고 부를 수 있나요?

청소년에게 스스로 어른이 될 기회를!

아름다운재단에는 ‘청소년자발적사회문화활동지원사업’ 이라는 긴 이름의 사업이 있습니다. 2001년부터 시작돼 이름만큼이나 긴 역사를 자랑하는 이 사업은 스스로 모임을 만들어 시민활동이나 창의적인 학습, 지역활동을 펼치려는 청소년들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모여서 뭘 할 수 있을까’ 싶으시겠지만 해마다 선정되는 청소년들의 프로젝트는 어른들의 상상 그 이상입니다. 언론이 주목하기도 하구요. 가까이에서 직접 청소년들을 만나거나 이야기를 듣는 간사들은 늘 감동을 받습니다.

2013년 4월 29일 <한겨레신문> “청소년, 내 이야기 담은 방송 만들어봤죠” 기사 보기 클릭!

지난해 아름다운재단의 지원을 받은 ‘청소년핫앤쿨’ 친구들. 마포지역에서 직접 라디오 방송을 만들어 진행했습니다.

 

강원도 인제 지역 청소년들이 버려진 건물을 지역 주민과 함께 아름답게 색칠해 지역 명소로 되살리려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자주 우울해하고 정서가 불안해 부모님을 걱정시킨 한 청소년은 이 활동과 언론 인터뷰 등을 거치며 몰라보게 밝아졌다고 합니다. 못했던게 아니라 할 수 있는 기회가 없었을 뿐. 마음 속에 억눌러 온 것들을 건전한 활동으로 우리 사회에 발산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보면 정말 ‘어른’이라고 불러도 좋을만큼 의젓합니다.

이 친구들은 언젠가 세상 사람 모두가 당연히 ‘어른’이라고 불러주는 나이가 되겠지요. 마냥 ‘아이’란 굴레 속에서 누군가의 지시나 목표를 강요받으며 어른이 되는 사람들과는 다른 어른이 되어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기대해봅니다. 그리고 언젠가는 모든 아이들이 스스로 꿈꾸고 생각하고 행동하면서 자연스럽게 아름다운 어른으로 성장할 수 있는 세상이 오길, 당신과 함께 바라봅니다.

 


청소년은 ‘문제’가 아니라 ‘자원’입니다.

교과서와 수식만으로 세상을 배우기보다는 자신이 오고가는 곳에서 함께 숨 쉬고 있는 이웃들을 위해 고민할 줄 아는 세대, 조금은 서툴고 느리지만, 충분히 자신을 바라보며 남을 배려하고 사회를 고민할 줄 아는 세대, 우리 청소년들이 우리 사회의 새로운 ‘Change Maker’가 되기를 꿈꿉니다.

 

 

댓글 6

  1. 빗물

    계속 댓글을 썼다가 지웠다가를 반복하고 있는데요;;;
    하고 싶은 말이 잘 정리가 되지 않지만,
    아이들은 무엇이든 꿈꿀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 맞아요. 무엇이든 꿈꾸고 도전해볼 수 있는 사회가 되면 얼마나 좋을까요. 아이들이 마음껏 꿈꾸려면 어떤 사회가 되어야할까…고민이 드는 요즘입니다.

  2. 난 지금 15+15+??

    나의 15살은 어땠지? 저도 되돌아보게되네요.
    나의 15살과 대보니 위 학생들이 대견하네요.
    재단의 이런 사업이 나의 15살에도 있었고 내가 알았다면…
    하는 생각과 아쉬움이 듭니다^_^

    • 물음표에 들어갈 숫자는 무엇일까요? ㅎㅎ
      누구든 믿어주는 만큼 성장할 수 있는 것 같아요. 저도 돌아보니 아쉬운 것들이 많네요.

  3. 어떻게 기대하고 대하느냐에 따라 청소년들이 펼칠 수 있는 잠재력의 정도가 달라지는 것 같아요. 더 많은 기회의 장이 열렸으면 좋겠어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댓글 정책보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