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잇는, 나눔산책>은 아름다운재단 기부자님과 함께 나눔의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자리입니다. 2019년의 첫 번째 나눔산책 ! 서로의 생각과 마음을 공유했던 시간을 소개합니다.

 

듣고만 있어도 기분이 좋아지는 말들이 있다. 그리고 그것들을 곰곰이 생각해보니 참 이상하리만치 사람의 감정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일까? 말 한마디 하는 것에 큰 품이 드는 것도 아닌데 타인에게서는 물론 스스로에게 조차 우리는 참 인색하다. 모두들 나의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이유일 거다.

“설레요.”

“안아주고 싶어요.”

“평화롭고 평안해요.”

나와 타인의 감정에 말을 걸다

사람들의 얼굴에 4월의 봄을 닮은 수줍음이 일렁였다. 오늘 내 기분이 어떤지 말해보는 중이었다. 어찌 보면 지극히 개인적인 물음에 스스로 답을 내보는 것인데, 그것 참 이상하다. 참석자들의 감정을 듣고 있자니 내가 덩달아 행복해진다. 고개가 끄덕여지고 눈을 한 번 더 맞추게 되고, 오늘 처음 본 사람이지만 괜스레 친근하게 느껴지고 말이다. 그제야 ‘감정’도 타인과 나눌 수 있는 거구나 싶었다. 표현하는 일이 익숙하진 않지만 어려운 일도 아니라는 것도 더불어.

강연을 듣는 참석자들의 모습과 발표하는 남성 참석자의 모습, 앉아서 서로 웃으며 얘기 나누는 참석자의 모습이 담긴 사진 네 장

그리고 여기, 나와 우리를 연결하고, 내 삶을 타인과 공유하는데 기꺼이 다리를 놓아주는 작가 은유가 함께 했다. 마음을 나누고 생각을 이어가는 <마음을 잇는, 나눔산책>을 함께 할 아름다운재단과 기부자들과 시민들이 봄 햇살을 가득 품은 서촌 역사책방에 모였다.

본명은 김지영이에요. 은유는 나에게 몰입하고, 글 쓰고, 책 읽는 자아로 살아가는 이름이지요. 은유로 불리면 오롯이 나에게 집중하게 되어 좋았어요. 자기에게 집중하지 않으면 글 쓰는 게 어렵거든요.”

우리는 타인과 떨어져서는 살 수 없는 사회에서 살고 있기에 내 삶에는 반드시 나 아닌 사람들이 등장한다. 피할 수 없기에 이내 순응하며 살지만 그것이 때로 고통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은유 작가는 타인들과 함께 부대끼며 살아야만 하는 우리네 삶을 풍요롭고 행복하게 만드는 것, 그리하여 결국엔 보다 살만 한 세상으로 바꿔나가는 방법으로 ‘이해’와 ‘공감’의 글쓰기를 택했다.

“내 삶을 타인과 공유하려면 거짓 자아가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 살아야만 하는데 그게 쉬운 일은 아니에요. 내가 나를 설명할 수 있어야 존재의 의미화가 되거든요. 그런 의미에서 글쓰기는 내가 누구인지 말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고, 나를 타인에게 설명할 수 있는 좋은 수단이라고 생각해요. 자기 생각과 의견을 가진다는 것은 나와 연결 된 세계를 이해하고 타인을 이해하게 만들기도 해요.”

책방 행사로 강연자가 앞에서 앉아서 말을 하고 있고, 자리에 앉은 참석자들의 뒷모습이 보인다

자신과의 대화는 세상을 이해하는 자기만의 기준을 만든다

은유 작가가 제시한 타인에 공감하며 함께 사는 방법의 첫 번째는 다름 아닌 ‘나’를 알기였다. 내가 누구인지, 내가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나는 어떻게 살아왔는지를 생각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한다. 왜일까? 타인을 이해하려면 내 삶보다 그들의 삶을 들여다보는 것이 먼저이지 않을까?

“자기 의견이 없다는 건 늘 남의 의견으로 살게 되고 휘둘리게 되잖아요. 기준이 밖에 있으면 나는 늘 부족한 사람이라고 생각할 수밖에 없어요. 그러나 글을 쓰면 자기 자신과 대화하는 사유를 하게 되고 자기 기준이 만들어져요. 자유로워지기도 하지요.”

즉, 우선 세상을 이해하는 자기만의 기준을 만드는 것이었다. 누구의 눈치 볼 것 없이 내 일상을 써보고, 불행한 일도 써보고, 자기의 약점과 결핍을 드러내는 글도 모두 써보는 것이다. 그 과정이 바로 성찰이 아닐까싶다.

“자기 삶에 집중하다보면 단독자로 내 삶은 없다는 걸 알게 되고, 타인의 삶을 보게 돼요. 매순간 마주하는 존재에 감응하고, 있는 그대로의 존재를 인정하게 되는 거죠. 글을 쓴다는 건 타인의 처지가 되어 보는 것, 그 사람의 입장에 서 보는 일이기도 해요.”

의자에 앉아 강연을 경청하는 참석자들과 강연자의 모습을 담은 사진 네 장

나에게서 우리로 확장된 삶의 연결고리

개인적인 삶을 돌이켜보면 나의 생각이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 미덕이라 여겼던 때가 있었다. 아니, 여전히 그렇다. 내 생각과 감정 따위 보다는 다른 이의 기준에 맞춰 사는 것이 속편한 게 사실이다. 그것에 이해와 공감이라는 그럴싸한 이유까지 붙이면 자존심 상할 일도 없다. 그러나 그것이 과연 진짜 공감이고 이해였는지, 감정을 드러내지 않은 것이 아니라 억누른 건 아니었는지, 은유 작가의 말들이 내게 들어올 때마다 뼈아픈 질문으로 새겨진다.

“나에게서 우리로 확장되고 서로 연결되어 가는 과정이 되어가는 것, 글 쓰는 일도 결국은 지향을 그렇게 잡아야 해요.”

은유 작가가 마이크를 들고 강연을 하는 모습으로 뒤에는 책장 배경과 사진 왼쪽 배경에 강연 내용이 텍스트로 쓰여 있다

비록 그 과정이 지난하더라도 다른 누구도 아닌 ‘나’로부터 시작되고 내 삶의 서사를 만들어야 하는 여정이기에, 거기서 확장된 내가 나와 당신을, 우리와 이 사회를 서로 연결시키는 고리가 되기에 이제는 차마 피할 수 없을 것 같다. 은유 작가는 우리가 나와 타인의 삶을 들여다 볼 줄 아는 삶의 옹호자가 되는 것을 더는 두려워하지 않도록 용기를 건넨다.

행사에 참석한 참석자들이 의자에 앉아서 손으로 하트를 그리며 정면을 바라보고 있다

한 시간여 진행된 작가의 다독임으로 인색하기만 했던 나의 감정표현과 나눔부터 조금씩 해보려고 한다. 강연 전 참석자들이 들려준 감정의 단어들로 인해 기쁨 가득한 순간들이 기억 속에 남는다. 아름다운재단으로 연결된 사람들이 나 자신을 나누며 또 하나의 연결고리를 만들어 갔던 자리, 관계라는 것이 만들어지려 꿈틀거리던 그 순간 말이다.

마지막으로 그 순간에 피어나온 감정을 표현해보련다. 그날의 충만했던 감정들이 모두에게 전달 되기를 바라면서, 그리고 우리 삶의 연결고리가 더욱 단단해지길 바라면서.

“날아갈 것 같다”  “상쾌하다”  “아름답다”

  글 ㅣ이소망
사진ㅣ김권일
영상ㅣ정은진

댓글 정책보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