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대출이 최고 해법은 아니다
문제는 제도금융에서 소외된 이들을 보는 눈과 운영방식이다

윤정숙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

특수금속을 수집해 되파는 재활용업체 사장 이윤정(가명)씨. 그는 초등학교 학력이 전부다. 도박과 폭력을 일삼는 남편, 게다가 여덟 식구 생계를 떠맡아 노점에서 옷도 팔고 비디오가게와 호프집 등 안 해본 일이 없다. 남편이 또 행패를 부리던 날, 그는 어린 딸들을 데리고 빈손으로 집을 나왔다. 가진 건 낡은 승합차 한 대, 현금 2만원과 빚이 전부. 쉼터를 거쳐 월세방을 얻은 그는 재활용회사에 들어가 억척으로 일을 배웠다. 업무회의 내용은 녹음해 퇴근 후 복습해 익혔고, 휴일이면 지게차 운전 연습을 했다.

창업하고 싶었지만 은행대출이 불가능한 그에게 아름다운재단은 무담보 소액대출을 해주었다. 한부모가 된 그는 그렇게 ‘희망가게’ 주인이 되었다. 회사 다니며 몸 사리지 않고 배운 일솜씨와 열정이 보태져 사업은 일찌감치 손익분기점을 넘었다. 대출금과 연 2% 이자를 창업 3년 만에 모두 갚은 그는 “어려울 때 돈만 빌려 쓴 게 아니라 희망까지 빌렸으니 이자도 참 싼 이자다”라고 말한다.

‘가난은 여성의 얼굴을 하고 있다’. ‘빈곤의 여성화’ 중심에 여성 가장이 있다는 건 오랜 상식이다. 한부모 가구 중 80%가 여성 한부모. 이들 가정의 아동빈곤율은 평균의 3배, 소득은 남성 가구주의 절반이다. 경제적 고통, 끈질긴 편견과 낙인은 맨발로 얼음 위를 걷는 삶이다.

‘희망가게 프로젝트’는 8년 전 한 기업가의 유산 기부로 시작되었다. 돈보다도 가진 것 하나 없는 자신을 믿어주는 것이 더 큰 힘이 되었다는 그녀들. 가게에 담은 그녀들의 꿈이 부서지지 않도록 경영 컨설팅, 교육과 정서 돌봄 프로그램도 당연히 함께 가며, 상환금은 또다른 여성 가장의 창업 대금으로 선순환된다. 이달 말 100호 가게가 문을 연다. 희망가게는 참 느리다.

방글라데시에서 무함마드 유누스 총재가 시작한 ‘그라민 은행’이 성공하면서 마이크로크레디트 사업은 가난한 사람들의 희망 브랜드가 되었다. 대출자 중 여성이 95%. 유엔은 2005년을 ‘마이크로크레디트의 해’로 정했고, 유누스 총재는 2006년 노벨평화상과 서울평화상을 받았다. 그라민 은행을 본떠 여러 나라에 속속 이 사업이 등장했고, 대출자금 규모가 커져 거대기업화된 곳도 있다. 인도에서는 최근 몇년간 시장이 10배나 불어났다. 그러나 얼마 전 유누스 총재가 분분한 이유로 사퇴하면서 이 사업은 도마에 올랐다. 터무니없이 높은 금리와 상환 독촉에 자살하는 사람들이 생기자 고리대금업과 다름없다는 비판도 높다.

장하준 교수 말대로 위대한 ‘희망’이 위대한 ‘환상’이 된 것일까. 소액대출이 빈곤의 뿌리를 뽑는 최고 해법은 아니다. 문제는 사업 자체가 아니라 제도금융에서 소외된 가난한 사람들을 보는 눈과 운영방식이다. 사업이 거대화·제도화되면서 사람보다 시스템이 더 앞서는 것, 대출 금액과 대출자 수로 성공을 따지고, 돈 회수에 무리수를 두는 데 있다. 마이크로크레디트, 말 그대로 가난한 사람을 위한 ‘작은 돈’이다. 스스로 서려는 그들의 작은 의지를 잊지 않을 때, 너무 크거나 너무 빠르지 않게, 관보다는 공동체와 상호연대의 가치를 지닌 민간이 주도할 때 작은 돈은 생명이 된다.

세계 최초의 비영리 벤처캐피털 ‘어큐먼 펀드’의 설립자이자 <블루 스웨터>의 저자 재클린 노보그라츠는 말한다. “우리는 돈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것을 거듭 배웠다. 더욱 강화시켜야 할 것은 깊이 공감하는 능력이다. 일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아주 작은 성공의 기회조차 가져본 적이 없어 가난한 사람들의 말을 머리보다 먼저 가슴으로 듣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댓글 정책보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