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선생님! 만나서 반가워요? 제 티셔츠 어때요?”

9살 정도 되보이는 한 꼬마 아이가 와서 막 말린 나눔 티셔츠를 보여주며 웃는다. 나에게 말을 걸었지만 이 아이는 수줍기도 하지만 영어가 서툴기 때문에 우리의 대화는 나의 짤막한 칭찬 한마디로 끝이 났다. 하지만 난 이 짧은 대화조차도 너무 좋았다. 오히려 영어를 잘하지 못하는 사람이 나에게 말을 걸어줄 때 나는 더 고마움을 느낀다. 나는 5번째 열린 나눔캠프의 70명의 참가자 아이들의 환영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캠프는 아이들이 나눔을 실천하고 기부와 나눔에 대해 깊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나눔교육은 어렸을 때 나의 삶의 많은 부분을 차지했기 때문에 이러한 목적은 나에게 매우 큰 의미로 다가온다.

나눔교육은 오늘날의 나를 만드는 데 큰 영향을 끼쳤다고 한치의 보탬 없이 말할 수 있다. 난 9살 때 부터 매주 청소년 캠프에 다니기 시작했다. 우리는 함께 놀고 활동 계획들을 짜면서 다투기도 하고 화해 하기도 하면서 그렇게 어울렸다. 내가 그 시간 동안 느꼈던 것들은 돈으로도 환산할 수 없을 만큼 값지며 개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나는 나눔캠프에 참석하면서 여기의 아이들 역시 그들의 경험은 소중하고 후에도 그럴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한가지 예를 들어보겠다.

화요일 오후, 모든 모둠들은 각 모둠의 과제를 해결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모든 모둠들은 잘 어울렸고 난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쓸 때 해결책을 얻었다. 내가 가장 좋아했던 한 그룹은 그들의 임무를 수행하기 시작했다. (가장 어린아이들로 구성된 이 그룹은 나에게 가장 큰 감동을 주었다.)

 

이 모둠의 아이들은 20미터 정도의 거리를 크기가 서로 다른 세가지 나무 판대기 위에 서서 통과해야 해야하는 것이 임무였다. 발이 땅에 닿으면 실패다. 아이들은 계속 시도와 실패를 거듭했다. 이 방법으 로는모두들 그 거리를 한번에 통과할 수 없어 보였다, 그래서 그들은 접근방법을 달리해보았지만 한번 나무 판대기 위에서 균형을 잃어버리면 전체 그룹은 흔들렸고 다시 시작해야만 했다. 아이들의 몸짓과 행동을 통해 난 그들이 화가 났고 서로의 잘못을 지적하기 시작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는 다른 모둠들이 다른 과제들을 수행하는 것을 보기 위해 돌아다녔다. (나의 투어는 아마 한 시간 아니 좀 더 걸렸던 것 같다.) 나는 매우 놀라운 광경을 목격했는데, 아직도 그 모둠이 과제를 성공하지 못하고 계속 시도 중에 있었던 것이다.

좌절과 노력이 그들의 얼굴에 역력히 나타나 있었고, 게다가 비까지 와서 그들의 몸은 젖어있었다. 그들 은 결국 동그랗게 앉아 다른 전략을 구상하기 위해 토론을 하기 시작했다. 모둠 지도자는 격려와 칭찬 으로 아이들을 지지하며 북돋아주기 시작했고 아이들은 서로를 격려해주기 시작했다. 이 모둠의 모든 아이들은 인내심과 끈기 그리고 처음부터 계속 시도하는 용기를 보여주었다. 결국 1시간 30분만에 드 디어 성공해냈다. 나는 비에 젖었지만 이렇게 행복하고 지친 아이들은 난생 처음이었다. 아이들에겐 정말 자축할만한 승리였다.말린의 나눔캠프 이야기

한국은 학업성취도국제평가(PISA)에서 교육에 있어 가장 강력한 힘을 보여주곤 한다. 물론 교육은 가장 중요한 이슈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한국의 많은 아이들이 매주 많은 학원에 다니며 심지에 방학 에도 학원에 간다는 사실을 들었다. 한 11살짜리 남자 어린이가 그의 일상생활을 이야기 해주었는데 아침에는 학교에 가고 오후에는 과학과 수학 그리고 다른 것들을 배우기 위한 학원들을 가며 밤에는 숙제를 한다고 했다. 그의 일과에 친구들과 노는 시간은 찾기 힘들었다.

방학동안이라고 하더라도 아이들은 과학, 경제, 영어 캠프에 가야만 한다. 지식을 얻는 것은 좋은 일이 지만 이렇게 매여있을 필요는 없다. 어린이들은 친구들과 자유롭게 놀고 웃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통해 자신들, 그리고 타인들에게 대해 행동하는지를 배울 수 있다. 이건 한 서양인의 견해일 수 있으나 한국 어린이들의 일과는 감당하기 힘들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이 나눔캠프를 좋아하는 이유이다.

아이들은 자신의 모둠의 결정을 스스로 내릴 수 있었고, 서로 보살피고, 친구들을 위해 스스로 자원했기 때문에 그들의 약점을 강점으로 만드는 좋은 계기가 될 수 있었다. 짧게 말하자면, 아이들은 배우기 위해 책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를 통해 배울 수 있었다.나의 고향 독일의 캠프와 비교했을 때 이 나눔캠프는 많은 공통점을 가졌다. 캠프의 지도자들이 아이 들과 소통하는 방법, 조금 당황스러울 정도로 열정적으로 보여주는 행동들, 그리고 열정적으로 부르는 노래들, 그리고 캠프 특유의 분위기까지 많이 닮아있다. 하지만 물론 다른 점도 있다. 나는 한번도 10명 의 아이들이 자고 난 방이 그렇게 깨끗한 것은 본 적이 없고 취침시간에 그렇게 조용한 적은 본 적이 없다. 그리고 물론 난 한번도 아침에 밥과 김치와 치킨을 아침으로 먹어본 적도 없다.

비록 내가 서울에 있는 기간이 3개월 밖에 안되지만 나눔캠프를 통해 한국의 나눔교육을 알 수 있는 기회를 갖을 수 있었던 것에 대해 아이들과 관계자들에게 깊은 감사를 보낸다.

 

댓글 정책보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