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지 ‘밥은 먹고 다니는지’와 같은 궁금증이 관심에서 사라져 가는 것 같다.

먹을거리가 넘쳐나서 절대로 밥은 굶고 다니는 사람이 없을 거라는 가정 때문일까. TV 속 덕선이네 밥숟가락이 몇 개인지 알고 지내던 쌍문동 사람들이 있었다. 그러나 조용하고 경계의 눈초리로 가득한 현실의 아파트에서는 옆집의 숟가락이 몇 개인지 알고 싶어 하지도 알리고 싶어 하지도 않는다. 그저 각자의 바쁜 생활에 충실할 뿐이다. 왁자지껄 쌍문동 골목길이 그리워지는 이유를 알고 싶다. 응답하라….

“잘 지내지? 밥은 먹었어?”

우리들의 관심에서 멀어져가는 이 문구가, 마포대교에서는 사람을 살리고 있다. 너무도 힘들어서 자살이라는 마지막 선택을 생각한 이를 살리는 그 말. 누구에게는 귀찮은 말일 수도 있지만, 누군가에게는 자신을 걱정해 주는 따뜻한 관심으로 여겨졌던 것 같다.

이렇게 짧은 글도 사람을 살리는데, 우리는 나라도 구할 수 있는 존재이지 않을까? 언제나 답은 자신 안에 있음을 우리는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나에게 나눔이란?’에 대해서 곰곰이 생각하다 떠오른 내용이다. 나눔에는 사전적 정의도 있을 것이고, 이 세상 모든 사람이 저마다 정의하는 나눔이 있으리라 생각하지만, 나눔 교육을 하는 나도, 나의 정의를 생각해보았다. 조심스레 입을 열어본다. 나눔은 관심에서 출발하여 용기 내어 실천하는 것이라고 말이다.

[반딧불이 생각] 나에게 나눔이란-잘 지내지? 밥은 먹었어?

<아이들이 이야기하는 나눔 : 나눔은 우리를 춤추게 한다>

 

<작은 변화의 시작을 꿈꾸며…>

나는 ‘반딧불이’이다. 청소년의 반디 활동을 이끌어주는 성인 멘토로서 청소년들이 모둠을 구성하여 능동적인 협동의 과정에서 합의를 이루고 공동으로 목표를 성취해 나갈 수 있도록 촉진자와 안내자의 역할을 하는, 이렇게 어려운 일을 해내고 있는 ‘반딧불이’이다. 그것도 여러 차례!

이렇게 어려운 일을 해내는 반딧불이라면 ‘왜 나눔 교육을 해야 할까요?’라는 질문에 당황하지 않고 생각하며 말할 수 있겠지 했지만 (허걱) 생각들은 머릿속에만 맴돌고 입은 좀처럼 열리지 않고 있다. (……) 그러나 지난 나눔 교육의 시간이 헛되지 않았는지 생각들이 정리되기 시작한다.

음… ‘작은 변화의 시작’을 위해서가 아닐까?

나눔이 확산되고 습관화되면 어떤 식으로든 개개인의 작은 변화가 있으리라 믿는다. 어떤 이는 나눔 교육을 통해 생각이 바뀌고, 어떤 이는 바뀐 생각을 용기 내어 실천할 것이다. 가랑비에 옷 젖고 나눔이 일상이 되는 그런 봄날이 바로 오늘이었으면 한다.

물론, 다른 사람들의 변화를 바란다면 나 자신부터 변화가 시작되어야 한다. 내가 나누지 않으면서 나눔 교육을 하는 것은 진정성을 다시 되짚어보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나는 많은 사람처럼 가진 사람만이 기부하는 것으로만 생각했는데, 적은 돈이지만 나의 한 달 수익의 3.3%를 기부하기 시작했다. 나라에 내는 당연한 세금처럼, 기부금도 세금처럼 당연하게. 그렇게 나눔 교육을 통해 나의 작은 변화가 시작된 것이다. 오늘은 나! 그리고 내일은 당신의 작은 변화의 시작을 꿈꾼다.

<반딧불이 김인숙>

<반딧불이 김인숙>

글 ㅣ 김인숙 (반딧불이)

댓글 정책보기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