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금
기부금 외 수입
기금 운용을 통한 수입
5,984,491,996
324,376,194
1,477,379,096
사업수행 비용
모금 비용
일반관리비 등
6,929,944,909
1,811,361,471
1,258,244,360
아름다운재단은 회원들의 기부를 통해 '목적형기금'을 조성하여 사업을 추진합니다.
목적형기금은 지속가능한 사업의 원천이 되며, 궁극적인 사회변화의 재정적 기반이 됩니다.
* 연간 총 재정현황은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내역 | 세부 내용 | 금액 | |
2019 수입 | 기부금 | 정기, 일시, 현물 등 기부회원이 기부하신 금액입니다. | 5,984,491,996 |
사업운영 수입 | 아름다운재단의 행사 참가비 등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금액입니다. | 43,705,962 | |
환급금 | 지원사업 종료 후 사업비 잔액 등이 아름다운재단에 환급된 금액입니다. | 280,670,232 | |
기금 운용을 통한 수입 | 목적형기금의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수입입니다. | 1,477,379,096 | |
2019 수입 합계 | 7,786,247,286 | ||
목적형기금 | 기부회원의 기부목적에 따라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사용예정 기금'과 '사업준비금'입니다. | 53,143,203,973 | |
총계 | 60,929,451,259 |
내역 | 세부 내용 | 금액 | |
2019 지출 | 사업수행 비용 | 정관상 명시된 고유목적사업을 위해 연구, 개발, 지원사업 등으로 집행한 금액입니다. | 6,929,944,909 |
ㄴ 건강영역 지원사업비 | 1,115,208,345 | ||
ㄴ 교육영역 지원사업비 | 1,557,557,608 | ||
ㄴ 노동영역 지원사업비 | 773,993,709 | ||
ㄴ 문화영역 지원사업비 | 294,939,811 | ||
ㄴ 안전영역 지원사업비 | 542,845,269 | ||
ㄴ 주거영역 지원사업비 | 349,788,245 | ||
ㄴ 환경영역 지원사업비 | 145,712,994 | ||
ㄴ 사회영역 지원사업비 | 2,149,898,928 | ||
모금 비용 | 정관상 명시된 고유목적사업을 위해 캠페인 기획, 기금 조성, 모금 실행 등으로 집행한 금액입니다. | 1,811,361,471 | |
일반관리비 등 | 조직을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영비입니다. | 1,258,244,360 | |
2019 지출 합계 | 9,999,550,740 | ||
목적형기금 | 기부회원의 기부목적에 따라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사용예정 기금'과 '사업준비금'입니다. | 50,929,900,519 | |
총계 | 60,929,451,259 |
* 한부모여성 창업자금지원을 위한 (희망가게) 대여사업비는 1,145,000,000원 입니다.
* 자세한 내용은 국세청 공익법인결산공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이른둥이 치료비 지원사업 | 이른둥이(미숙아)를 돌보는 가정을 위해 입원치료비와 재활치료비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341,343,532 | 개인 지원 52 | 단체 지원 - |
장애아동 친환경 DIY 보조기기 지원사업 |
영유아기 장애아동을 위해 친환경소재 보조기기를 성장변화에 맞춰 지속적으로 지원했습니다. 2018년 개발 보조기기 2종을 지원하고 신규 보조기기 2종을 추가 개발했습니다. | 사업비 240,774,000 | 개인 지원 147 | 단체 지원 1 |
재가 치매노인 보조기기 지원사업 |
치매노인의 안전과 보호자의 돌봄노동 감소를 위한 보조기기를 지원했으며, 재가 치매노인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연구 사업을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194,835,227 | 개인 지원 73 | 단체 지원 1 |
한부모 여성가장 건강권 지원사업 |
저소득 한부모 여성가장의 건강권을 보호하고 생계 활동을 돕기 위해 건강검진비와 검진 후 재정밀검진, 수술치료비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90,110,000 | 개인 지원 192 | 단체 지원 1 |
장애아동청소년 맞춤형 보조기기 지원사업 |
장애아동청소년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맞춤형 보조기기를 지원하고 국내 최초 친환경 소재의 DIY 보조기기를 개발했습니다. | 사업비 2,598,2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한화케미칼 지정 기탁사업 | 한화케미칼 지정기탁으로 진행된 임직원 봉사 프로그램으로, 종로 지역 일부 점포에 장애인 경사로를 설치해 장애인 이동 보장 및 인식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4,400,000 | 개인 지원 10 | 단체 지원 -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지원사업 - 건강영역 |
건강영역에서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20,501,094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 |
건강영역 사업 수행 | 건강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120,646,292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 | 만 18세에 아동복지시설 및 위탁가정의 보호가 종료되는 대학생에게 교육비를 지원해 학업 유지와 자기계발을 돕고, 지지체계 형성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444,769,150 | 개인 지원 60 | 단체 지원 1 |
고등학생 교육비 지원사업 | 저소득 가정의 고등학생이 경제적인 이유로 학업의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교육비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222,606,890 | 개인 지원 82 | 단체 지원 1 |
청소년 진로탐색 지원사업 | 비수도권 지역 청소년들이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기획, 실행하고 협업하면서 다양하게 자신의 진로를 탐색하도록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200,978,660 | 개인 지원 62 | 단체 지원 4 |
이주아동 보육권리를 위한 지원사업 | '경기권 이주아동 보육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이주아동 가정이 겪는 어려움 해결과 사회 인식 개선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조례 제정 활동과 연구 등 차별없는 보육권 보장을 위해 활동했습니다. | 사업비 183,346,961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4 |
중고등학교 신입생 교복 지원사업 | 경제적인 부담없이 안정적인 학교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저소득 가정의 중·고등학생에게 교복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44,496,940 | 개인 지원 309 | 단체 지원 1 |
서장석 리더십 프로그램 지원사업 | 경기고등학교 경기창의인재아카데미 및 상설 동아리 활동을 지원해 학생들의 리더십 배양을 도울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25,114,3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교육영역 | 교육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의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76,095,96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5 |
교육영역 현물 | 교육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사업비 34,311,000 | 개인 지원 92 | 단체 지원 - |
교육영역 사업 수행 | 교육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225,837,747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한부모 여성 창업대출 지원사업 | 창업을 준비하는 한부모여성에게 담보와 보증없이 저금리로 창업자금을 대출해 창업을 돕고, 창업 후 생활안정을 위한 교육, 컨설팅, 상담 등의 사례관리를 지원했습니다. 상환금은 또 다른 한부모여성의 자립 지원에 쓰입니다.
* 희망가게 대여사업비는 재정현황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사업비 732,991,521 | 개인 지원 282 | 단체 지원 4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노동영역 | 노동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의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41,002,188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아동청소년문화지원사업 | 문화소외지역의 저소득가정 아동청소년들이 문화감수성과 공동체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아동청소년 현장단체에 문화활동 프로그램비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84,714,360 | 개인 지원 548 | 단체 지원 36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문화영역 | 문화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의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73,662,459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6 |
문화영역 현물 | 문화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사업비 2,505,140 | 개인 지원 530 | 단체 지원 - |
문화영역 사업 수행 | 문화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34,057,852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산재보상 사각지대 해소 지원사업 | 열악한 근로환경에서 일하다 다치거나 질병을 얻었지만, 정당한 산재보상을 받지 못했거나 불충분한 산재보상으로 인해 생계곤란 및 사회복귀에 어려움을 겪는 취약계층 산재노동자에게 생계비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62,445,460 | 개인 지원 73 | 단체 지원 1 |
홀로 사는 어르신 생계비 지원사업 | 홀로사는 저소득 어르신들께 경제·정서적 안정감을 드릴 수 있도록 정기적인 생계비와 매월 사례관리 방문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27,187,690 | 개인 지원 117 | 단체 지원 1 |
아동 안전권 보장 지원사업 | 아동이 마을에서 보호받고 안전할 권리를 누릴 수 있는 지역 문화 조성을 위해 지역 아동청소년 지원단체와 주민단체들의 캠페인 활동과 인권놀이터 프로그램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40,744,3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유기동물 보호활동 지원사업 | 유기동물 보호공간, 지역 주민과 방문객을 위한 녹지 공간 조성을 위해 ‘(사)동물권행동카라 파주센터 건립’ 비용의 일부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6,500,0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하라기금 지정기탁사업 | 기금출연자가 지정한 보육기관(데레사의집)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기관에서 양육하는 아동들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3,600,0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안전영역 | 안전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의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132,190,293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7 |
안전영역 현물 | 안전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사업비 6,092,000 | 개인 지원 517 | 단체 지원 1 |
안전영역 사업 수행 | 안전영역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64,085,526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주거영역 통합공모 사업 | 새로운 주거 사각지대 발굴을 위해 공모사업을 진행했습니다. 청소년부모와 쉼터퇴소청소년 주거권 옹호 등 취약계층 주거 불평등 해소를 위해 힘썼습니다. | 사업비 293,057,619 | 개인 지원 77 | 단체 지원 6 |
소년소녀가정 주거비 지원사업 | 2018년 <소년소녀가정 주거비 지원사업>의 집행 결과 보고를 위한 수행비입니다. | 사업비 24,3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주거영역 사업 수행 | 주거영역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56,706,326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풍력공로자 지원사업 | 호민 기우봉 박사의 유지를 담아, 풍력산업의 활성화와 사기 진작을 위해 국내 풍력산업의 발전과 확산에 공로가 있는 사람을 선정하여 '호민 기우봉 풍력상'을 시상했습니다. | 사업비 10,000,000 | 개인 지원 2 | 단체 지원 -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환경영역 | 환경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의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133,820,888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8 |
환경영역 사업 수행 | 환경영역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1,892,106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작은변화지원센터 지원사업 | '지리산 이음'과 협력하여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를 공동 설립하고 운영하면서 지리산권(구례, 남원, 산청, 하동, 함양) 지역활동 주체를 발굴하고 공익활동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383,516,046 | 개인 지원 15 | 단체 지원 56 |
공익단체 인큐베이팅 지원사업 | 시민 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한 신생 공익단체의 초기 활동과 설립 과정을 지원했습니다. 단체 간 네트워킹을 지원하는 워크숍을 진행하고 지원성과를 담은 단행본을 제작했습니다. | 사업비 228,901,603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4 |
나눔교육 | 청소년이 어엿한 시민으로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나눔교육 반디'에 2개 학교, 13개 지역단체가 참여했고, '청소년배분위원회'는 '차별'을 주제로 청소년이 기금을 직접 배분해 공익활동을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134,545,496 | 개인 지원 236 | 단체 지원 20 |
변화의시나리오 스폰서 지원사업 | 시민단체가 기획한, 시의성이 요구되는 단기 프로젝트를 연중으로 지원했습니다. 젠더, 노동 등 다채로운 이슈로 프로젝트가 진행됐습니다. | 사업비 105,046,056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3 |
지역시민사회 네트워크 지원사업 | 지역시민사회 활성화를 위해 올해는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와 함께 안동지역 청년 현황조사와 청년 모임 활동을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84,908,580 | 개인 지원 4 | 단체 지원 1 |
공익활동가 쉼 지원사업 | 공익활동가의 번아웃을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활동기반을 만들기 위해 활동가 스스로 기획한 국내·외 여행, 취미활동 등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47,598,100 | 개인 지원 30 | 단체 지원 17 |
지역활동가 역량강화 지원사업 | 지역 활동가의 지속가능한 활동을 위해 '더이음'과 <2019 활동가 이야기 주간>을 공동 개최했습니다. 전국 28개 지역에서 세대·분야를 막론한 60여개 이야기모임이 열렸습니다. | 사업비 42,899,218 | 개인 지원 400 | 단체 지원 62 |
기부문화 기획연구 | 기부문화 확산, 비영리 역량 증진 및 효과적인 정책 제안을 위해 기획연구 2건, 이슈페이퍼 및 번역 4건, 정책토론회 2회, 국제학회(ISTR ASIA) 참가 등의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 사업비 41,709,790 | 개인 지원 505 | 단체 지원 - |
기부문화총서 발간 | 기부문화 확산과 비영리 역량 강화를 위해 기부문화 도서 '나눔북스'를 발간합니다. 서울도서관에 이어 올해 고려대 도서관에 '나눔문화컬렉션' 서가를 설치해 도서 보급을 확대했습니다. | 사업비 35,742,373 | 개인 지원 1,502 | 단체 지원 - |
기빙코리아 | 2000년부터 국내 최초로 기부문화 연구조사를 시작했습니다. 올해는 국내 비영리조직의 일반현황과 함께 '비영리 조직 리더십과 투명성에 관한 심층조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 사업비 35,452,662 | 개인 지원 111 | 단체 지원 - |
공익활동가 해외연수 지원사업 | 공익활동가 해외연수를 지원해 해외 선진사례 학습을 통한 역량 강화를 도왔습니다. | 사업비 32,257,550 | 개인 지원 15 | 단체 지원 5 |
청소년공익활동지원사업 | 청소년이 공익활동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청소년 모둠을 지원했습니다. 청소년 권리보장, 학교·마을 문제 개선 등의 활동이 진행됐습니다. | 사업비 25,004,420 | 개인 지원 78 | 단체 지원 11 |
공익활동가 네트워크 지원사업 | 같은 분야의 사회문제 해결을 시도하는 각기 다른 단체 활동가들의 네트워크를 지원했습니다. 올해에는 산재 피해 가족, 스포츠 선수 인권 옹호를 주제로 한 네트워크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21,044,657 | 개인 지원 21 | 단체 지원 2 |
지역시민사회 역량강화 지원사업 | 대구 공익활동가 연수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지역의 활동가 간 느슨한 관계망을 형성하고, 주민자치형 공익활동에 대한 정보 교류의 장을 제공했습니다. | 사업비 20,690,638 | 개인 지원 42 | 단체 지원 1 |
아시아민주주의와 인권기금사업 | 아시아의 민주주의와 인권을 위해 활동하는 국내외 학계, 시민사회단체 등을 지원합니다. 강연회와 심포지엄에는 동아시아 대학원생 및 학계 종사자 99명이 참여했습니다. | 사업비 18,630,8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기억할게 우토로 지원사업 | <기억할게 우토로> 일환인 '컨테이너 보내기 프로젝트'를 통해 마을 곳곳에 방치되어 있는 유물을 보관할 수 있는 특수 컨테이너를 일본 우토로 마을에 전달했습니다. | 사업비 15,000,0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책날개기금 지원사업 | 한국 거주 외국인에게 책을 매개로 한국사회의 포용성을 알리고자 진행한 '송하원교수의책날개기금' 10주년 기념 지원사업입니다. 서울도서관에 다국어도서 896권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4,482,8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지역사업개발 | 지역사업 연구기획단을 운영해 작은변화지원센터 지원사업에 대한 자문을 구하고, 작은변화지원센터 활동성과 평가모델 개발 및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13,729,85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기부문화연구 석박사 논문지원사업 | 국내 기부문화 연구 촉진과 연구자 육성을 지원합니다. 올해는 '비영리콜로키움'을 6회 열어 연구자 교류와 지지 네트워크 형성에 힘썼습니다. | 사업비 2,885,700 | 개인 지원 106 | 단체 지원 -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사회참여영역 | 사회참여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의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116,504,549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9 |
카카오같이가치 파트너사업 | 우리사회 공익활동 촉진 및 건전한 기부문화 창출을 위해 ‘카카오같이가치’ 서비스에서 공익모금사례에 대한 모금함 심사 및 사업관리를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290,979,795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25 |
KBS거리의만찬 공동모금프로젝트 | KBS거리의만찬, 카카오같이가치와 공익활동의 생생한 현장을 알리고, 온라인 모금으로 모인 시민기부금은 공익단체의 사업활동에 쓰였습니다. | 사업비 62,400,1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0 |
사회참여영역 현물 | 사회참여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사업비 2,176,500 | 개인 지원 106 | 단체 지원 - |
사회참여 사업 수행 | 사회참여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373,791,645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아름다운재단은 매해 연차보고서를 발행해 재정 현황과 사업 활동의 자세한 내용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연차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