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부금
기부금 외 수입
기금 운용을 통한 수입
7,649,790,176
350,148,931
1,618,334,645
사업수행 비용
모금 비용
일반관리비 등
6,766,715,070
2,228,240,195
1,290,274,989
아름다운재단은 회원들의 기부를 통해 '목적형기금'을 조성하여 사업을 추진합니다.
목적형기금은 지속가능한 사업의 원천이 되며, 궁극적인 사회변화의 재정적 기반이 됩니다.
* 연간 총 재정현황은 아래 표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내역 | 세부 내용 | 금액 | |
2021 수입 | 기부금 | 정기, 일시, 현물 등 기부회원이 기부하신 금액입니다. | 7,649,790,176 |
사업운영 수입 | 아름다운재단의 행사 참가비 등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금액입니다. | 76,789,802 | |
환급금 | 지원사업 종료 후 사업비 잔액 등이 아름다운재단에 환급된 금액입니다. | 273,359,129 | |
기금 운용을 통한 수입 | 목적형기금의 운용 과정에서 발생한 수입입니다. | 1,618,334,645 | |
2021 수입 합계 | 9,618,273,752 | ||
목적형기금 | 기부회원의 기부목적에 따라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사용예정 기금'과 '사업준비금'입니다. | 50,701,542,269 | |
총계 | 60,319,816,021 |
내역 | 세부 내용 | 금액 | |
2021 지출 | 사업수행 비용 | 정관상 명시된 고유목적사업을 연구, 개발, 지원사업 등으로 집행한 금액입니다. | 6,766,715,070 |
ㄴ 건강영역 지원사업비 | 870,747,170 | ||
ㄴ 교육영역 지원사업비 | 1,651,122,867 | ||
ㄴ 노동영역 지원사업비 | 582,397,820 | ||
ㄴ 문화영역 지원사업비 | 251,224,422 | ||
ㄴ 안전영역 지원사업비 | 426,273,326 | ||
ㄴ 주거영역 지원사업비 | 370,459,541 | ||
ㄴ 환경영역 지원사업비 | 11,737,328 | ||
ㄴ 사회참여영역 지원사업비 | 2,602,752,596 | ||
모금 비용 | 정관상 명시된 고유목적사업을 위해 캠페인 기획, 기금 조성, 모금 실행 등으로 집행한 금액입니다. | 2,228,240,195 | |
일반관리비 등 | 조직을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운영비입니다. | 1,290,274,989 | |
2021 지출 합계 | 10,285,230,254 | ||
목적형기금 | 기부회원의 기부목적에 따라 사업을 진행하기 위한 '사용예정 기금'과 '사업준비금'입니다. | 50,034,585,767 | |
총계 | 60,319,816,021 |
* 한부모여성 창업자금지원을 위한 (희망가게) 대여사업비는 1,347,350,000원 입니다.
* 재정현황은 국세청 공익법인결산공시 및 기부포털1365를 통해서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이른둥이 재활치료 지원사업 | 이른둥이(미숙아)를 돌보는 가정을 위해 재활치료비와 형제자매 돌봄비, 심리치료비 등 기타 비용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259,056,351 | 개인 지원 50 | 단체 지원 1 |
장애아동 친환경 DIY보조기기 지원사업 | 장애아동의 일상 생활과 신체발달을 돕기 위해 아동의 성장변화에 맞춰 교체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골판지) DIY 보조기기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81,212,510 | 개인 지원 143 | 단체 지원 37 |
여성장애인 맞춤형 보조기기 지원사업 |
여성장애인 개개인의 특성과 상황에 맞춘 보조기기를 지원하여 사회생활을 돕고 편안한 일상을 이어갈 수 있도록 뒷받침했습니다. | 사업비 166,643,350 | 개인 지원 28 | 단체 지원 1 |
재가 치매노인 보조기기 지원사업 | 치매노인의 안전과 보호자의 돌봄노동 경감을 위해 보조기기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50,210,280 | 개인 지원 73 | 단체 지원 1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건강영역 | 건강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26,873,96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 |
건강영역 현물 | 건강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화장품 35세트 |
사업비 666,155 | 개인 지원 28 | 단체 지원 1 |
건강영역 사업 수행 | 건강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86,084,564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대학생 교육비 지원사업 | 만 18세에 아동복지시설 및 위탁가정의 보호가 종료되는 대학생에게 교육비를 지원해 학업과 자기계발을 돕고, 지지체계 형성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445,318,580 | 개인 지원 40 | 단체 지원 1 |
청년 자립정착꿈 지원사업 | 대학 비진학 보호종료 청년의 자립을 돕고자 교육비·주거비·생계비 등의 통합 지원과 함께 자립역량강화 및 지지체계 형성을 위한 그룹멘토링·여행활동·자립교육 등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236,359,600 | 개인 지원 25 | 단체 지원 1 |
보호경험청년 배움 지원사업 | 아동양육시설에서 보호경험이 있는 만 18세 이상 29세 이하 대학 비진학 또는 취업준비 청년에게 개별적 필요에 기반한 재정적 지원과 지지체계 형성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225,690,740 | 개인 지원 20 | 단체 지원 1 |
보호종료아동 생활안정 지원사업 | 보호종료아동이 긴급한 생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안정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긴급 생활안정금을 지원하고,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 사업비 147,000,000 | 개인 지원 46 | 단체 지원 1 |
청소년 진로탐색 지원사업 | 비수도권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을 위해 지역에서 활용 가능한 진로자원을 모아 '진로자원 온라인 플랫폼'을 만들고 마을 중심 진로탐색 생태계의 비전을 제시하는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124,374,69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4 |
보육시설 퇴소아동 통신비 지원사업 | 아동양육시설 거주 청소년 및 보호종료아동의 생활 편의와 정보격차 해소를 위해 통신비 및 휴대전화 단말기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48,066,500 | 개인 지원 58 | 단체 지원 - |
고등학생 교육비 지원사업 | 저소득 가정의 고등학생이 경제적인 이유로 학업의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교육비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30,753,400 | 개인 지원 10 | 단체 지원 1 |
청년 경제교육 지원사업 | 경제적 자립 기반이 부족한 보호종료아동에게 지원금을 제공하고, 주도적인 생애설계를 할 수 있도록 건강한 재무습관을 위한 교육과 생활경제 상담을 지원합니다. | 사업비 28,519,06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서장석 리더십 프로그램 지원사업 | 경기고등학교 경기창의인재아카데미 및 상설 동아리 활동을 지원해 학생들의 리더십 함양을 도왔습니다. | 사업비 25,064,0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교육영역 | 교육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91,371,46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5 |
교육영역 현물 | 교육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귤 25박스, 스타벅스 폴더블백/다이어리 세트 150개, 스타벅스 텀블러 1,300개 |
사업비 14,578,205 | 개인 지원 1,450 | 단체 지원 3 |
교육영역 사업 수행 | 교육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234,026,632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 '보호종료청년', '자립준비청년'을 포함하는 말로 '보호종료아동'을 사용했습니다.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한부모여성 창업자금 대출 지원사업 | 창업을 준비하는 한부모여성에게 담보와 보증없이 저금리로 창업자금을 대출해 창업을 돕고, 창업 후 사업활성화를 위한 교육, 컨설팅, 상담 등의 사례관리를 지원했습니다. 상환금은 또 다른 한부모여성의 자립 지원에 쓰입니다. * 희망가게 대여사업비는 재정현황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사업비 533,674,882 | 개인 지원 231 | 단체 지원 4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노동영역 | 노동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42,998,333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 |
노동영역 현물 | 노동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설선물 세트 295개, 도서 30권, 꿀세트 192개 |
사업비 5,724,605 | 개인 지원 517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아동청소년 문화 지원사업 | 저소득가정 아동청소년이 문화감수성과 공동체성을 함양할 수 있도록 아동청소년 현장단체를 통한 문화활동 프로그램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60,244,300 | 개인 지원 522 | 단체 지원 36 |
청년 스타트 지원사업 | 보호종료 후 필요한 물품으로 구성된 키트지원을 통해 지지의 경험을 제공하고 심리정서적 안전망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 사업비 20,782,14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문화영역 | 문화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의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38,926,092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 |
문화영역 사업 수행 | 문화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31,271,89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 '보호종료청년', '자립준비청년'을 포함하는 말로 '보호종료아동'을 사용했습니다.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산재보상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지원사업 | 산업재해를 당했으나 정당한 산재보상을 받지 못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취약 계층 노동자를 대상으로 긴급생계비를 지원하고 산재보상 사각지대 문제를 알리는 콘텐츠를 제작했습니다. | 사업비 150,313,920 | 개인 지원 33 | 단체 지원 1 |
안전하고 건강한 학교만들기 지원사업 | 학생·교사·학부모 등 학교 구성원의 자발적 참여와 실천을 통해 유해물질로부터 자유로운 건강한 학교(유자학교)를 만들 수 있도록 학습 프로그램 및 교구를 지원했습니다. 안전한 제품의 생산과 유통을 위한 사회적 논의 기반도 마련했습니다. | 사업비 73,948,870 | 개인 지원 1,300 | 단체 지원 1 |
비수도권 여성한부모가족 긴급지원사업 | 코로나19로 인한 장기간 소득감소로 어려움에 처한 비수도권 여성한부모가구의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긴급생계비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52,200,000 | 개인 지원 150 | 단체 지원 1 |
코로나19 긴급지원 |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사회 구성원이 일상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긴급 생계비 및 방역용품, 식료품 등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0,995,000 | 개인 지원 150 | 단체 지원 - |
하라기금 지정기탁사업 | 기금출연자가 지정한 보육기관(데레사의집)의 안정적인 운영과 기관 거주 아동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3,600,0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안전영역 | 안전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42,998,333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 |
안전영역 현물 | 안전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펩시콜라 220박스, 한국쓰리엠 방진마스크 22,000장 |
사업비 37,179,545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8 |
안전영역 사업 수행 | 안전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55,037,658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청소년주거복지 지원사업 |
청소년부모, 쉼터 퇴소 청소년 등 주거 사각지대에 놓인 청소년에게 안정적인 주거환경 및 교육을 지원해 자립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 사업비 316,029,080 | 개인 지원 22 | 단체 지원 2 |
주거영역 사업 수행 | 주거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54,430,461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풍력공로자 지원사업 | 호민 기우봉 박사의 유지를 담아, 풍력산업의 활성화와 사기 진작을 위해 국내 풍력산업의 발전에 공로가 있는 사람을 선정하여 '호민 기우봉 풍력상'을 시상했습니다. | 사업비 10,000,000 | 개인 지원 2 | 단체 지원 - |
환경영역 사업 수행 | 환경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1,737,328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세부 사업 | 세부 내용 | 사업비 | 개인 지원 | 단체 지원 |
작은변화지원센터 지원사업 | '지리산이음'과 협력하여 지리산 작은변화지원센터를 공동 설립·운영하며 지리산권(구례, 남원, 산청, 하동, 함양) 지역활동 주체를 발굴하고 공익활동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499,187,317 | 개인 지원 185 | 단체 지원 14 |
카카오같이가치 파트너사업 | 공익활동 촉진 및 건전한 기부문화 창출을 위해 온라인 모금 서비스 '카카오같이가치' 에서 공익모금사례에 대한 모금함 심사 및 사업관리를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279,439,593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01 |
기억할게 우토로 지원사업 | 일제강점기 강제동원으로 조성된 일본땅의 조선인 마을 '우토로'의 역사 보존을 위한 평화기념관 외부 공간을 조성합니다. 조선인 집단 합숙소 '함바' 해체 및 재건과 구술집, 디지털 역사지도 등 콘텐츠를 제작했습니다. | 사업비 220,602,43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공익단체 인큐베이팅 지원사업 | 시민 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한 신생 공익단체의 설립과 초기 활동을 지원하고 지원성과를 담은 단행본을 제작했습니다. | 사업비 194,939,855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4 |
변화의시나리오 스폰서 지원사업 | 소규모 비영리단체의 공익 콘텐츠 제작과 확산을 위한 단기 프로젝트를 지원했습니다. 자료집, 보고서,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공익 콘텐츠가 제작되었습니다. | 사업비 138,385,369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8 |
공익단체 IT인프라 지원사업 | 코로나19로 새로운 활동 방식을 시도할 수 있도록 지역 공익단체 및 컨소시엄 네트워크에게 IT인프라 및 디지털역량강화교육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120,344,00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33 |
공익제보자 지원사업 | 공익제보자를 지원하는 호루라기재단과 함께 공익제보를 통해 만든 변화를 콘텐츠화하고, 인식개선을 위한 실태조사, 법률지원 세미나, 아카이브 사업 등을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120,142,79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지역 시민사회 네트워크 지원사업 | '안동청년공감네트워크'와 협력하여 대중교통 문제 등 안동시 주민과 청년들의 작은변화를 위한 활동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52,489,921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1 |
공익활동가 쉼 지원사업 | 공익활동가의 소진을 예방하고 지속가능한 활동기반을 만들기 위해, 활동가 스스로 기획한 국내 여행과 취미활동 등을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46,565,369 | 개인 지원 26 | 단체 지원 - |
기부문화총서 | 국내 비영리종사자와 기부자에게 기부문화에 관한 지식을 전파하여 비영리부문의 역량강화와 기부문화 발전의 초석을 이루고자 나눔북스를 발간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2권의 나눔북스를 발간했습니다. | 사업비 45,645,859 | 개인 지원 38 | 단체 지원 - |
지역활동가 역량강화 지원사업 | '변화를만드는사람들'과 함께 전국의 활동가 10명을 인터뷰했고, 활동가들의 네트워크를 위한 '캠프C' 행사를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40,342,13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기빙코리아 | 2000년 국내 최초 기부문화 연구 조사를 시작, 매년 기부 지수 및 연구결과를 발표합니다. 2017년부터 시작한 비영리조직 조사를 기반으로 '비영리조직 종사자의 인적자원관리와 경력이동'을 주제로 연구 및 발표행사를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36,118,666 | 개인 지원 109 | 단체 지원 - |
기부문화기획연구 | 기부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비영리기관의 모금능력 향상 및 효과적인 정책생산을 위해 위해 기획연구 4건, 이슈페이퍼 5건을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30,515,890 | 개인 지원 9 | 단체 지원 - |
지역 시민사회 역량강화 지원사업 | 시민사회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고자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는 단체, 활동가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사회문제 해결에 의지를 가진 시민들이 공익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변화의물꼬' 지원사업을 진행했습니다. | 사업비 23,756,100 | 개인 지원 2 | 단체 지원 3 |
청소년 공익활동 지원사업 - 나눔교육X유스펀치 | 2020년부터는 청소년 사회참여를 지원해온 ‘나눔교육’과 ‘유스펀치’를 통합 운영하며 청소년이 공익활동 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공익활동 프로젝트를 지원했습니다. | 사업비 22,079,439 | 개인 지원 60 | 단체 지원 10 |
기부문화 국제연구 | 국제기부지수, 아시아 공익활동환경지수 생산 및 협력사업을 진행합니다. 미국 인디애나대학과 2건, 홍콩의 CAPS(Centre for Asian Philanthropy and Society) 와 1건의 프로젝트를 완료했습니다. | 사업비 14,946,555 | 개인 지원 4 | 단체 지원 - |
기부문화도서지원 | 서울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지리산 작은변화센터에 '나눔문화컬렉션'을 개설하고 신규 기부문화도서를 기증했습니다. '이달의 기부문화도서' 추천, 국내기부문화도서 소개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배포했습니다. | 사업비 6,730,560 | 개인 지원 304 | 단체 지원 3 |
기부문화 협력 및 네트워크 | 국내 기관과 비영리·기부문화 관련 연구 협력을 합니다. 한국사회과학자료원과 협약을 맺고 기빙코리아 원데이터 공유, 학술연구정보서비스 내 재단 연구물을 탑재했습니다. 사랑의열매, 어린이재단과 7년째 나눔지식네트워크를 공동 개최해 비영리섹터 발전을 도모합니다. | 사업비 1,815,396 | 개인 지원 145 | 단체 지원 - |
기부문화연구석박사 논문지원사업 | 국내 기부문화 연구 촉진과 연구자 육성을 지원합니다. 1건의 석박사논문 지원과 '비영리콜로키움' 6회 개최를 통해 연구자 교류와 네트워크 형성에 힘썼습니다. | 사업비 1,657,100 | 개인 지원 316 | 단체 지원 - |
변화의시나리오 프로젝트 지원사업 - 사회참여영역 | 사회참여영역에서 활동하는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의 공익활동을 지원하여 공익활동 다양성에 기여했습니다. | 사업비 306,131,450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21 |
사회참여영역 현물 | 사회참여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현물 배분 * 나눔북스 100권, 돌기부·백일기념 동화책 24권 |
사업비 2,780,000 | 개인 지원 24 | 단체 지원 24 |
사회참여영역 사업 수행 | 사회참여영역의 고유목적사업 수행을 위한 진행비 | 사업비 398,136,807 | 개인 지원 - | 단체 지원 - |
아름다운재단은 매해 연차보고서를 발행해 재정 현황과 사업 활동의 자세한 내용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연차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