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8세가 되면 보육원을 나와 자립정착금 500만원으로 자립해야 합니다.
누구보다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살아갈 수 있는 우리는 ‘열여덟 어른’입니다.
이제 막 세상에 나온 우리들은 편견과 동정의 대상이 아닙니다.
그냥 꿈을 찾고 있는 보통의 청춘입니다.
지금 손자영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만 18세가 되면 보육원을 나와 자립정착금 500만원으로 자립해야 합니다.
누구보다 빨리 어른이 되어야만 살아갈 수 있는 우리는 ‘열여덟 어른’입니다.
이제 막 세상에 나온 우리들은 편견과 동정의 대상이 아닙니다.
그냥 꿈을 찾고 있는 보통의 청춘입니다.
지금 손자영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나는 돌이 갓 지난 후 보육원에 들어왔다.
내 이름은 손자영이다.
보육원에서 나의 첫 기억은 4살 쯤이다.
어린 나이였지만 언니들을 따라
보육원의 규칙을 배우던 기억이 난다.
보육원에서 우리를 돌봐주던 양육자를 엄마라고 불렀다.
나의 엄마는 여러 명이었고
서서히 남과는 다른 엄마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공동생활에서 엄마의 사랑을 받기 위해
선택한 방법은 공부였다.
그 결과, 보육원 밖에 있는 학원에 다닐 기회가 생겼다.
하지만 이것이 나의 다름을 알게 되는
시작이 될 줄은 꿈에도 몰랐다.
학원에는 같은 보육원 친구들이 있었고
우리끼리는 서로를 모른 척하는 암묵적인 약속이 있었다.
하지만 같은 신발, 같은 옷, 같은 도시락,
심지어 똑같은 반찬까지..
보육원 아이들은 눈에 띌 수밖에 없었다.
아이들은 하루도 빠지지 않고 나를 놀렸다.
나는 보육원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생애 처음 차별과 편견을 경험했다.
2014년 8월 4일,
19년을 산 보육원을 나왔다.
보육원을 나와 선생님과 들른 식당에서
처음으로 내가 먹고 싶은 음식을 시킬 수 있었다.
앞으로는 모든 것을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는 선생님의 말에
이제 정말 혼자라는 것이 실감나 목이 메어왔다.
혼자 헤쳐나가야 하는 보육원 밖의 세상은
냉혹한 현실이었다.
첫 회사 생활은 실수투성이었고,
내 실수에는 항상 '부모가 없어서'라는 이유가 붙었다.
그럴수록 나는 보육원에서 자랐다는 사실을 감춰야 했다.
TV 드라마 속 대사를 들을 때면
과거의 기억이 떠올라 심장이 털컥 내려 앉는다.
잠깐 스쳐가는 장면의 짧은 대사일지라도
보호종료아동인 나에겐 모두 상처가 되었다.
지금도 여전히 미디어 속 보호종료아동은 동정과 편견의 대상으로 그려진다.
나는 미디어에 비친 보호종료아동의 모습이
실제 우리들의 삶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우리의 자립을 움츠러들게 한다.
그래서 내가 할 수 있는 일부터 시작해 보기로 했다.
미디어 패러디 일러스트란?
보호종료아동 캐릭터가 미디어에서 차별 받는 장면을 긍정적으로 패러디 하는 일러스트입니다.
보호종료아동 당사자가 직접 참여한 패러디 일러스트 결과물은
드라마, 영화 등 제작사에 직접 전달될 예정입니다.
* 보호종료아동이 그린 미디어 패러디 일러스트 결과물은 온라인북으로 공개될 예정입니다.
그들의 자립에 대한 사회의 시선은 ‘무관심’에 가깝습니다.
세상의 편견 앞에 제각각 살아내고 있습니다.
혼자 자립할 수 있는 사람은 없습니다.
곁에 아무도 없다면 그것은 자립이 아닌 고립입니다.
보다 평범하게 자립할 수 있도록, 보육원 출신이 사회적 낙인이 되지 않도록
열여덟 어른들이 직접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습니다.
<열여덟 어른> 캠페인 기부금은 <교육영역기금>을 통해
보호종료아동을 위해 사용됩니다.
#당사자 미디어
'자립전문가'를 꿈꾸는 신선 님이 보호종료아동의 진짜 이야기를 전하는 당사자 미디어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미디어 패러디
소외된 약자와 연대하는 사회를 꿈꾸는 손자영 님이 미디어 패러디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보육원 강연
키다리 아줌마를 꿈꾸는 허진이 님이 보호종료아동과 함께 보육원 강연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패션제품 디자인
나만의 패션 브랜드를 꿈꾸는 박한수 님이 패션제품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동화책 제작
사람을 살리는 글을 쓰고 싶은 안연주 님이 동화책 집필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캐릭터 디자인
색깔 있는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 주경민 님이 캐릭터 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교육비 지원
생활보조비 지원
작은변화프로젝트 지원
상담 모니터링
주거비 지원
자기계발비 지원
* 2020년 비진학 보호종료아동을 위한 지원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아름다운재단은 2001년부터 지금까지
만 18세에 아동복지시설(보육원), 위탁가정에서
보호가 종료되는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지원을 위해
교육비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2020 비진학 보호종료아동 지원사업 시작
2001 ~ 2019 누적 830명(약 연60명),
약 39억원 교육비 지원
2014 자립정착금 사용실태 조사 및
지원방안 연구사업 진행
아름다운재단은 지난 20년간 보호종료아동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캠페인과 사업을 이어왔습니다.
보통의 청춘들과 함께한 시간 속으로 초대합니다.
보육원에서 자란 아이들은 서로를
‘원사람’이라고 부릅니다.
‘원 배지’는 열여덟 어른 전안수 디자이너가
보육원의 ‘원’을 모티브로 디자인했습니다.
둥근 원모양의 유리헬멧은 세상의 편견에
상처받고 싶지 않은 마음을 표현합니다.
이제 열여덟 어른들이 세상에 당당히 목소리를 내려고 합니다.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주세요.
<열여덟 어른> 캠페인에 참여해 주신 분들께
‘원(ONE) 배지’를 드립니다.